"편집자 필요없어"…독일 유력언론, AI로 감원 칼바람

빌트, 편집업무 인공지능으로 대체
"조만간 AI가 기자 앞지르게 될 것"

유럽 최대 판매 부수를 가진 독일 타블로이드 신문 빌트가 앞으로 편집업무를 인공지능(AI)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모회사인 악셀 스프링어는 빌트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경비 절감책의 일환으로 1억유로(약 1406억원) 규모의 AI와 자동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이라 밝혔다.

악셀 스프링어는 "디지털 시대에 AI나 자동화가 대신할 수 있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과는 결별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빌트와 디 벨트 신문. [사진=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FAZ) 홈페이지 캡처]

빌트와 디 벨트 신문. [사진=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FAZ) 홈페이지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악셀 스프링어는 지금처럼 편집자와 부편집자, 인쇄 제작 지원, 교정원, 사진 편집자의 일자리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지방 사업조직에 대한 재정비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가디언은 악셀 스프링어가 AI 도입 등으로 인한 감원 규모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수백명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빌트의 경쟁지인 프랑크푸르트알게마이네차이퉁(FAZ)은 빌트가 편집 관련 인력 200명, 현재 18명인 지방편집자도 12명으로 줄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FAZ는 악셀 스프링어가 대표 신문인 '디 벨트'에도 비슷한 조처를 내릴 것이라 예상했다.


마티아스 되프너 악셀 스프링어 최고경영자(CEO).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마티아스 되프너 악셀 스프링어 최고경영자(CEO).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마티아스 되프너 악셀 스프링어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월 챗 GPT와 같은 AI 도구들이 독립적인 저널리즘을 더 좋게 만들거나 아니면 대체할 것이라면서 완전한 디지털 미디어로의 전환을 선언한 바 있다.


되프너 CEO는 정보를 종합하는 업무에서 조만간 AI가 기자들을 앞지를 것이라면서 탐사 저널리즘과 독창적인 논평처럼 최고의 자체 콘텐츠를 생산하는 발행자만이 살아남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구나리 인턴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