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유니콘기업 비중 5년새 반토막…헬스케어·AI는 '0%'

전세계 2.7배 늘 동안 1.4배 증가
비중은 2.2%→1.2%로 반토막

5년간 한국 유니콘 기업 비중이 반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유니콘 기업은 기업가치가 10억달러(약 1조원)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을 의미한다.


충청남도 아산 탕정 지식산업센터 '유니콘101' 조감도.[사진제공=동서건설]

충청남도 아산 탕정 지식산업센터 '유니콘101' 조감도.[사진제공=동서건설]

원본보기 아이콘

21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주요국 유니콘 기업 분석 결과를 보면 2019~2023년 5년간 세계 유니콘 기업이 449개에서 1209개로 2.7배 증가하는 동안 한국은 10개에서 14개로 1.4배 느는 데 그쳤다. 한국 비율은 2.2%에서 1.2%로 1%포인트 하락했다. 유니콘 기업 수로 봤을 때 비중이 커진 나라는 미국(48.6→54.2%), 인도(4.5→5.8%), 프랑스(1.1→2.1%), 이스라엘(1.6→2%) 등이다. 비중이 작아진 나라는 한국을 비롯해 중국(24.3→14%), 영국(5.3→4.1%), 인도네시아(1.1→0.6%) 등이었다.

기업가치로 봐도 한국 존재감은 약해졌다. 세계 유니콘 기업가치는 2019년 1조3546억달러(약 1745조원)에서 올해 3조8451억달러(약 4952조원)로 183.9% 증가했다. 한국은 290억달러(약 37조원)에서 325억달러(약 42원)로 12% 늘었다. 한국 비율은 2.1%에서 0.8%로 1.3%포인트 하락했다. 미국은 4.6%포인트(48.8→53.4%) 높아졌고 중국은 10.3%포인트(29.4→19.1%) 낮아졌다.


韓 유니콘기업 비중 5년새 반토막…헬스케어·AI는 '0%' 원본보기 아이콘

업종별로 보면 올해 한국 유니콘 기업은 이커머스(28.6%),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21.4%), 모바일 및 통신(14.3%) 등 순으로 많았다. 세계로 범위를 넓혀보면 핀테크(21.3%), 인터넷 소프트웨어·서비스(18.9%), 이커머스(8.9%), 헬스케어(8%), 인공지능(7.6%), 공급망·유통·배달(5.5%), 사이버 보안(4.8%) 순이었다. 이에 대해 전경련은 "한국 유니콘 기업은 커머스, 통신, 유통 등 판매와 통신 서비스에 치우쳐 있다"며 "주요국보다 데이터 분석 기술 기반 기업 비중은 작다"고 했다.


유니콘 기업은 혁신 촉진, 신산업 발굴, 고용 확대 등 국가 경제에 순기능을 한다. 주요국들은 스타트업 창업을 장려하고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크도록 정책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 유니콘 기업 비중은 점점 작아지고 있다.

전경련은 기업형벤처캐피탈(CVC) 규제를 완화해 스타트업 성장에 필요한 투자가 원활하게 들어오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했다. CVC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풀어야 할 규제로는 지주회사 CVC 지분 100% 보유 의무, 지주사 CVC 부채비율 200% 제한, CVC 조성 펀드 외부자금 비중 40% 제한, 소속 기업집단 총수 일가 지분보유 기업 투자금지 규정 등을 꼽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스타트업을 키우고 유니콘 기업을 늘리려면 원활한 투자 유치는 필수"라며 "투자 유치를 늘리기 위해 CVC 규제를 개선하고 스타트업 해외 진출을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