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쉬는 20대' 더 늘어…"원하는 임금수준의 일자리 없어서"

고령화·무직청년 현상 맞물리며 역전
5년간 60대 인구 31%↑ 20대 4%↓

60대 10명 중 6명은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60대(60∼69세) 취업자 수는 446만7000명으로 20대(20∼29세) 취업자 수 383만3000명보다 많았다.

사진=연합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사진=연합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60대 취업자 수는 5월 기준으로 2021년부터 3년째 20대 취업자 수를 웃돌고 있다.


2020년 60대 취업자 수는 359만8000명으로 20대 취업자 수 360만2000명에 미치지 못했으나, 2021년 391만1000명으로 20대 371만2000명을 넘어섰다.


이는 고령화 등 인구 구조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60대 인구는 5월 기준 2018년 570만9000명으로 20대 638만2000명보다 적었지만, 2021년에는 688만7000명으로 20대 648만1000명보다 많아졌다.


2018년부터 5년간 60대 인구가 177만2000명(31.0%) 늘어나는 동안, 20대 인구는 22만7000명(3.6%) 줄었다.


최근 베이비부머의 고령층 편입 등으로 60대 이상 인구는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60대 취업자가 증가하고 20대 취업자는 감소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생활비 등의 목적으로 일하려는 고령자가 많아진 점도 배경으로 꼽힌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고령층 부가 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장래 근로를 희망한 60대는 2018년 5월 66.3%에서 2022년 5월 71.8%로 높아졌다.


근로 희망 사유는 2018년과 2022년 모두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가 가장 많았다.


실제로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은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지난달 60세 이상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8.1%였다. 이는 관련 통계가 산출되는 1999년 6월 이후 동월 기준 가장 높은 수치다. 이러한 변화가 맞물리며 지난달 60대의 고용률은 1년 전보다 1.0%포인트 높아진 59.7%였다. 60대에서 10명 중 6명꼴로 일을 한다는 의미다.


반면 20대는 취업 준비도, 구직도 하지 않고 쉰 청년의 수가 오히려 늘어났다. 1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지난달 20대 청년들을 상대로 경제활동 상태를 물었더니 '쉬었음'이라고 답하는 20대가 지난해보다 3만 6000명 증가한 35만 7000명으로 조사됐다.


세대 별로 봤을 때 전체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쉬었음' 인구가 증가한 연령대는 20대가 유일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왜 쉬었느냐'고 물었더니 17만 3000명이 '원하는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라고 가장 많이 답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