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로 싸고 쉽게 구매 가능"…10대 마약범 4년 새 3배 폭증

마약김밥·마약떡볶이 등의 표현 남용도 문제

최근 마약 거래에 대한 접근이 쉬워지면서 10대 청소년이 마약 범죄에 무분별하게 노출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경찰청이 국민의힘 정우택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검거된 마약사범 1만2387명 중 2.4%에 해당하는 294명이 10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의 8107명 중 104명(1.3%)에서 약 3배로 늘어난 수치다. 게다가 같은 기간 전체 마약사범은 1.5배로 늘어났는데, 이에 비하면 증가 폭도 크다.

최근에는 인터넷에서 각종 마약을 뜻하는 은어를 검색하면 판매 경로를 안내하는 글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또 다크웹과 텔레그램 등에서 마약을 쉽게 구매할 수 있어서 10대 청소년들이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크다.

조성남 법무부 국립법무병원장은 “예전에는 직접 사람을 만나서 마약을 구해야 했지만, 이제는 인터넷과 SNS로 싼 가격에 쉽게 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무관.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뱅크]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무관.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뱅크]

원본보기 아이콘

실제로 지난달 6일 서울 동대문구에서 중학생 A(14)양이 텔레그램을 통해 산 필로폰을 동급생 2명과 함께 투약하는 일이 벌어졌다. A양은 호기심으로 인터넷 검색을 한 뒤 판매자가 보낸 텔레그램 초대 링크를 통해 송금하고, ‘던지기’ 수법으로 필로폰 1회분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경찰청은 지난달 ‘청소년 마약범죄 예방 교육자료 제작’ 용역 입찰 공고를 냈다. 사업 예산은 7300만원이다. 경찰청은 “청소년 마약범죄 예방에 대한 표준화한 강의자료나 학교전담경찰관(SPO) 대상 자료가 부재하다”고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한편 마약김밥·마약떡볶이처럼 식품 명칭이나 상호에 ‘마약’이라는 표현을 남용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젊은 층이 마약을 가볍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조 원장은 “마약을 이용한 광고를 자주 접하는 것은 마약에 대한 경계심을 허물어뜨려 실제 마약에 접근할 마음이 들게 할 수 있어 굉장히 위험하다”고 견해를 밝혔다.


최근에는 슈퍼푸드(건강식품)로 알려진 ‘헴프 씨드’(대마 씨앗)를 넣은 커피를 ‘대마커피’로 판매하는가 하면, 간판에 대마초 모양까지 그려 넣은 커피숍도 등장했다. 대마는 종에 따라 환각 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함유량에 차이가 있다. THC가 6∼20%로 높은 종은 마약인 마리화나로 분류되고, 0.3% 미만은 ‘헴프’로 불린다.


박영덕 마약퇴치운동본부 중독재활센터장은 “한국에서는 일반 의약품을 집에 다량 구비해놓고 어떤 약품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어릴 때부터 의약품 지식과 약물 중독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모임·파티 등에 자신의 컵을 들고 다녀야 한다는 기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