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인 가족 교재조차 없는' 한국수어 교육 달라진다

농인 체감 우선시한 '발전기본계획' 발표
한국수어교육원 늘리고 1급 승급 과정 마련
통역 지원, 공공기관·문화예술기관 발표로 확대

수어를 일상어로 사용하는 국민은 약 5만2000명. 대부분 정보 접근, 문화 향유, 사회 소통 등에 어려움을 겪는다. 농인 가족을 위한 교재가 없을 만큼 수어 교육·통역 기반이 취약해서다. 정부 정책마저 제도적 기반 조성에 초점이 맞춰져 실효성이 떨어진다.


'농인 가족 교재조차 없는' 한국수어 교육 달라진다 원본보기 아이콘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부터 비전과 방향을 달리한다. 6일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농인의 체감을 우선시한 '제2차 한국수어발전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했다. 농인 전문가들의 전략과 현장 의견수렴을 반영해 추진 과제 열두 개를 제시했다. ▲한국수어 제도 내실화 ▲한국수어 교육 기반 확대 ▲한국수어 교원 역량 강화 ▲공공수어 통역 전문성 향상 ▲한국수어의 미디어 접근성 강화 등이다. 올해만 60억 원을 투입한다.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문화·예술·체육·관광 환경이 좋아지면 비장애인·청인의 환경도 좋아진다고 확신한다"라며 "농인과 그 가족을 위한 지원은 물론 농인과 비농인이 자유롭게 소통하고 연대하는 방안을 계속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가장 기대를 모으는 정책은 한국수어 제도·기반 확대. 한국수어교육원을 네 곳에서 열일곱 곳, 한국수어교원 양성소를 여덟 곳에서 열일곱 곳으로 각각 늘린다. 2급 교원만 배출하던 수어교원에 1급 승급을 위한 교육 과정과 지침도 마련한다. 누구나 한국수어를 배우도록 교육 대상별 맞춤형 교육 과정과 교재 또한 개발한다. 문체부는 이미 지난해 12월 '2022 개정 특수교육과정'에 내년부터 적용할 수어 과목을 편성했다. 농아동과 농인 가족을 위한 교육 과정과 교재까지 별도로 개발해 수어교육원 등 교육 현장에 적용한다. 지금껏 정부에서 개발한 한국수어 교재는 농인 성인용으로 개발한 '한국수어' 문법서가 유일하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문체부는 한국수어 통역사의 전문성도 강화한다. 공공수어 통역 시 필요한 통역 표준지침을 개발하고, 농인으로 구성된 수어 통역 모니터링단을 운영한다. 아울러 통역 지원 범위를 정부 발표에서 공공기관·문화예술기관 발표로 확대하고, 지원 횟수를 2027년까지 연평균 2000회 이상으로 늘린다. 지난해 지원 횟수는 440회에 불과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박물관·미술관 전시 정보와 K-영화 등에 대한 한국수어 통역 영상을 제작·지원하고, 한국수어 방송 의무편성 비율도 5%에서 7%로 확대한다"라며 "농인들의 문화 향유와 미디어 접근이 한결 수월해질 것"이라고 확신했다.


인공지능(AI) 시대에 대응한 한국수어 정보화에도 박차를 가한다. 한국수어-한국어 말뭉치를 연간 100만 어절씩, 2027년까지 600만 어절을 구축한다. 한국어와 한국수어 간 자동 통역 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수어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한국수어-한국어 사전'과 '한국어-한국수어 사전' 편찬은 장기 과제로 추진한다. 우선 전자를 한국수어 4000개 규모로 2026년까지 정리한다. 문체부 관계자는 "한국수어의 의미, 한국수어와 한국어 용례, 수형(손모양) 그림 등 다양한 정보 제공은 물론 한국수어 형태를 종합적으로 검색하는 형태로 제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