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도 미국서 경쟁?…배터리업계, 올해 3대 과제는

IRA 기준 부가가치 변화
①中낄 틈 생긴 북미 시장
②대규모 배터리 공장 가동 본격화
③글로벌 경기 위축, 전기차 된서리?

中도 미국서 경쟁?…배터리업계, 올해 3대 과제는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 한국 배터리 3사가 새해 글로벌 경기 위축과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IRA)의 미묘한 변화 등 악재로 고민하기 시작했다. 해외 신규 공장 안정화 등 내부 문제만으로도 골치가 아픈 상황이다. 녹색 불만 보고 달릴 수 있을 것 같았던 2023년 배터리 3사 앞길에 황색 등이 들어왔다.


◆美 IRA 미묘한 변화…中 낄 ‘틈’ 생겼다=미국이 IRA 배터리와 핵심광물 요건 적용 시기를 3월로 연기했다. 또 IRA 세부 규정에 미묘한 변화가 생겼다. 한국 기업엔 불리하고 중국 기업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방향으로 IRA가 변하고 있다.

미국 재무부는 3월에 나올 배터리 요건(광물·부품) 제정 방향을 작년말 백서 형태로 제시했다. 백서는 배터리 부품별 북미 제조·조립 비율, 핵심 광물별 미국 및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추출·가공된 비율을 산정할 때, 개별 부품·광물이 아니라 전체 부품·광물의 가치를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초 ‘북미 또는 미국 FTA 체결국에서 채굴·가공한 광물을 써야만 한다’고 했던 것을, ‘북미 또는 미국 FTA 체결국에서 50%이상 부가가치를 창출하면 쓸 수 있다’는 식으로 바꾼 것이다. 쉽게 말해 중국 기업이 중국산 배터리에 쓰이는 광물을 공급하고 배터리 셀 제조에도 참여할 수 있다.


IRA 시행으로 북미를 떠나려했던 중국 기업들도 슬그머니 돌아왔다. 중국 배터리 업체 고션하이테크는 독일 완성차 회사 폴크스바겐과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미국 미시건주에 23억6000만달러(약 3조1000억원)를 투자해 배터리 소재 공장을 세우기로 했다. 미국 포드자동차와 중국 CATL도 미국에 합작 배터리 생산 공장을 합작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포드가 인프라와 시설 등 공장 소유권을 100% 갖고, CATL이 운영과 기술을 맡는 등 세부사안도 논의중이다.


박철완 서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예를 들어 테슬라가 중국 기업들이 생산하는 LFP(인산철) 배터리를 써왔고 앞으로 중국산을 안쓰기는 힘든 구조"라고 했다. "IRA 기준을 완화해달라는 요구가 지방 정부와 각 업계에서 쏟아지고 있어 중국을 완전히 배제하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대규모 배터리 공장 시운전·본격 가동=국내 배터리 3사가 안고 있는 내부과제도 만만치 않다. 바로 ‘수율(양품률)’이다. 주행거리가 길면서도 출력이 좋고 안전한 배터리를 개발해도 공장에서 수율 90% 이상을 맞추지 못하면 물건을 팔기 어렵다. 국내 기업들은 유럽과 북미, 중국, 동남아시아에서 배터리 생산 공장을 운영중이며 새로운 공장도 만들 계획이다. 공장마다 생산하는 배터리 형태나 종류가 달라 불량율을 낮추는 데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든다. 보통 배터리 공장 준공 후 1년간 시운전을 거쳐, 정상화까지 2~3년 이상이 걸린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미국 테네시에 위치한 GM합작 2공장을 올 4분기 시운전할 계획이다. SK온도 미국 조지아주 단독 2공장을 올해 가동한다. 삼성SDI 또한 헝가리 괴드에 자리잡은 2공장을 돌리기 시작한다. 박 교수는 "배터리 생산 공정은 자동화율이 낮을 뿐더러 숙련된 인력을 확보하기가 까다롭다"며 "지속적인 생산공정의 변화 속에서도 좋은 수율을 확보하는 경쟁이 첨예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경기 위축에 전기차 시장도 된서리=배터리업계는 지난 2~3년간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전기차 시장이 큰폭으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는 세계 불황으로 전기차가 전처럼 많이 팔리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테슬라 지난해 4분기 인도량은 40만5278대였다. 미국 월가 전망치인 42만7000대를 밑돈 것이다. 최근에는 감산을 할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다. 지금까지 테슬라 분기별 판매량은 전기차 수요 변화 보여주는 지표였다. 배터리 업체들도 경기침체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한건 마찬가지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