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세계경제 적극 공조 어려워…분절화가 내년 주요 리스크"

한은, '세계경제의 특징 및 리스크 요인' 보고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코로나19 회복 과정에서 발생한 지정학적 긴장 고조와 인플레이션 급등 및 대응으로 내년도 세계경제의 성장흐름은 크게 둔화할 전망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4일 간행물 '해외경제포커스'에 실린 '내년도 세계경제의 특징 및 리스크 요인' 보고서에서 "세계경제는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크게 증대된 가운데 이에 대응한 주요국의 통화긴축 강화와 유럽 에너지 위기 심화, 중국경제 부진 등으로 하반기 들어 성장세가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내년도에는 미국·유럽·중국 등 세계 3대 경제권에서 발생한 충격이 지속되면서 주요국 경기가 동반 위축되고 회복흐름도 둔화될 전망이다. 특히 주요국의 통화긴축 강화와 경기 위축은 주변국의 금리인상 압력과 수출 둔화 요인으로 작용하며 경기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 신흥국 성장세가 차별화하는 가운데 최근 신흥국 경제 둔화조짐이 나타나면서 경기하강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향후 코로나19 기간 중 투자 위축, 원자재 가격 조정 추세 등을 감안할 때 신흥국 성장세가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한은은 글로벌 공급차질, 주요국 성장둔화로 세계교역이 주요국을 중심으로 둔화되고 여행서비스를 중심으로 상품교역에서 서비스교역으로의 리밸런싱이 지속될 것으로 봤다. 달러화 강세와 투자 증가세 둔화는 세계교역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세계 경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는 '분절화(Fragmentation)·중국 성장 회복 지연·신흥국 취약' 등이 꼽혔다.


미국·중국 무역갈등에서 촉발된 분절화 조짐이 최근 본격화되면서 성장과 교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분절화 위험은 2018년 미·중 무역분쟁 이후 대(對)러 경제제재로 고조됐으며 최근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미·중 간 경쟁이 심화되며 확대될 소지가 있다.


봉쇄정책과 부동산 경기둔화 등에 따른 중국경제 부진 장기화는 세계경기 회복을 지연시키는 요인이다. 제로코비드 기조 지속, 부동산시장 부진 장기화 등으로 중국경제의 성장 모멘텀 회복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 급격한 금리인상과 달러화 강세로 글로벌 유동성이 축소되면서 신흥국 경기 위험이 증가한 것도 리스크 요인이다. 현재 신흥국들의 금융위기 동시발생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경상수지 적자국 등 일부 취약국은 위험이 잠재해 있다.


한은은 "최근 나타나고 있는 주요국의 긴축속도 조절 움직임과 중국의 방역정책 완화 조짐 등은 내년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의 상방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다만 과거와 달리 각국의 적극적인 공조노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할 때 하방리스크 요인 현실화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