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화재 비대위 구성…"내주 피해신고 접수"

16일 경기도 성남 SK C&C 판교캠퍼스 A동 화재 현장 모습. 전날 오후 3시30분께 SK C&C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카카오, 네이버 등 서버 입주사들의 서비스들이 연달아 먹통이 됐다. 특히 카카오톡 메신저, 포털 다음, 카카오T, 카카오페이지, 카카오페이 등 카카오 서비스와 전반에 걸쳐 장애가 발생하며 전국적으로 약 10시간 이상의 '먹통 상황'이 발생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16일 경기도 성남 SK C&C 판교캠퍼스 A동 화재 현장 모습. 전날 오후 3시30분께 SK C&C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카카오, 네이버 등 서버 입주사들의 서비스들이 연달아 먹통이 됐다. 특히 카카오톡 메신저, 포털 다음, 카카오T, 카카오페이지, 카카오페이 등 카카오 서비스와 전반에 걸쳐 장애가 발생하며 전국적으로 약 10시간 이상의 '먹통 상황'이 발생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유현석 기자] 카카오는 서비스 오류 사태에 대응해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출범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카카오는 "지난 15일 발생한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직후 경영진과 각 부문 책임자들로 구성해 가동해온 대응 컨트롤타워를 비대위로 전환 출범한다"면서 "위원장은 홍은택 카카오 공동체 센터장(카카오 각자대표)이 맡는다"고 말했다.

비대위에는 카카오 본사와 주요 자회사의 책임자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페이 카카오모빌리티 등 자회사에서 참여할 것"이라며 "정확한 참여사와 인원 등은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원인 조사 소위원회(소위)를 비롯해 재난 대책 소위, 보상 대책 소위 3개 분과로 구성된다. 원인 조사 소위는 데이터센터 화재의 원인과 전원 공급 지연, 복구 과정 등 정확한 사실 규명에 나선다.


재난 대책 소위는 앞으로 유사한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한다.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시행하는 역할까지 맡는다.

보상 대책 소위는 이번 장애로 피해를 경험한 이용자들과 파트너 등 모든 이해 관계자들에 대한 보상 정책을 수립한다.


카카오는 다음 주 중으로 자신이 입은 피해를 신고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해 피해 신고 접수를 할 예정이다. 신고받은 내용을 기반으로 보상 대상 및 범위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홍은택 카카오 공동체 센터장은 "이번 사고로 불편을 끼쳐드린 점에 진심으로 사과드리며 현재 서비스 정상화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며 "관계 당국의 우려를 어느 때보다 무겁게 받아들이며 조사와 요청에 성실하게 협조하고, 강도 높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번 사고로 피해를 본 분들을 위한 보상 정책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