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폐플라스틱 100% 재사용…ESG 경영 구축

LG화학 미래기술연구센터 연구원들이 생분해성 신소재의 물성을 테스트하고 있다.

LG화학 미래기술연구센터 연구원들이 생분해성 신소재의 물성을 테스트하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LG화학 은 친환경 재활용 플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해 폐플라스틱 자원의 선순환에 기여하고 있다.


플라스틱의 생산에서 사용 후 수거, 재활용까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다. 스타트업 이너보틀과과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를 완벽하게 재활용하는 플라스틱 에코 플랫폼이 대표적이다.

LG화학이 제공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너보틀이 화장품 용기를 만들고, 사용한 용기만 회수하는 전용 물류 시스템을 통해 수거한 뒤 다시 원료 형태로 재활용하는 방식이다. LG화학 플라스틱 소재만으로 만든 용기를 전용 시스템을 통해 수거하고 재활용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자원을 100% 재사용할 수 있다.


화학적 재활용 공장 설립과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LG화학은 2024년 1분기까지 충남 당진에 국내 최초의 초임계 열분해유 공장을 연산 2만t 규모로 건설할 계획이다.열분해유는 사용된 플라스틱에서 추출 가능한 재생 연료로 새로운 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Eh 세계 최초로 합성수지와 동등한 기계적 물성 구현이 가능한 생분해성 신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옥수수 성분의 포도당과 폐글리세롤을 활용한 바이오 함량 100% 생분해성 소재다. 합성수지와 같은 기계적 물성과 투명성을 구현할 수 있는 세계 유일한 소재다.

LG화학 관계자는 "전 사업 부문에서 ESG 경영 가속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해 나가며 지속가능성 분야 선도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