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EF 출범…신(新)경제안보 지형도 구축

격변하는 경제 안보 글로벌 지형도
韓 IPEF 참여로 산업 득실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주도의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고위급 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한다. 전날 방한 일정을 마치고 일본에 머물고 있는 바이든 대통령은 IPEF 출범을 공식 선언할 예정이다.


산업계는 IPEF 출범을 계기로 인·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신(新) 경제안보 지형도가 구축될 것이라는데 기대를 모으고 있다.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인·태 지역은 2020년 기준 세계경제(GDP)의 44.8%, 무역의 35.3%, 인구의 35.2%를 차지하는 거대 경제권이다. 특히 지난해 한국 수출에서 인·태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47.1%로 2015년 41.8%에서 5.3%포인트가 높아졌다. 같은 기간 대(對) 중국 수출이 31%대에서 정체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인·태 지역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다.

IPEF에서 관세 인하 혜택 등 시장접근 이슈는 다루지 않지만 무역 뿐 아니라 ▲공급망 안보 ▲디지털경제 ▲에너지·기후변화 대응 ▲노동·환경 등을 망라하는 포괄적인 경제 협력체제가 구축된다는 점에서 한국 산업계가 기회를 엿볼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새로 만들어지는 경제안보 지형도에서 한국이 강점을 지닌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디지털 분야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다만,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중국의 경제 보복 우려에 국내 기업이 피해를 볼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미국은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IPEF의 가시적인 성과 도출을 위해 경제안보 핵심으로 자리잡은 공급망 재편 방안부터 구체화하는데 힘을 쏟을 전망이다. 아시아경제는 IPEF 참여를 확정한 국내 핵심 산업분야에서 마주할 수 있는 공급망 재편과 이로 인한 산업의 지형 변화, 우리 기업의 시너지 및 우려, 경쟁국과의 역학관계 등 IPEF 참여에 따른 실익을 점검해 볼 예정이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