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무역금융도 ESG·디지털化 대처해야"

"글로벌 무역금융도 ESG·디지털化 대처해야"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기업이 수·출입 등 무역거래를 할 때 필요한 금융규제와 관련해 환경에 끼치는 영향도 감안하려는 움직임을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불법거래로 인한 검은돈이나 자금세탁, 테러방지 등은 현재도 중요시하고 있는데 여기에 더해 기업의 탄소저감 노력을 반영해야 한다는 얘기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7일 국제상업회의소(ICC)와 국제무역금융 정책동향 전문가 세미나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은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토마시 쿠비악 ICC 위원은 "ICC 국제금융위원회의 내년 최대 이슈는 ‘지속가능한 무역금융’"이라며 "향후 은행간 금융거래 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제정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탄소중립이 전 세계 화두로 떠오르면서 개별 기업의 탄소저감 노력을 무역금융거래에 적용시키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무역금융이란 검은돈이나 자금세탁뿐 아니라 환경기준도 무역금융에 적용시키려는 움직임이다.


무역관련 금융범죄를 보다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 플랫폼을 갖춰 디지털화하는 추세도 최근 두드러진다. 정용혁 ICC코리아 금융위원회 위원은 "복잡한 무역거래를 악용해 불법적인 자금세탁이 전세계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이를 막기 위해 민관이 협업해야 한다"며 "특히 무역금융은 은행이 신용장에 수기로 정보를 입력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데,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무역서류를 스캔·검증하는 방식으로 자금세탁방지 프로세스를 효율화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해외에서는 무역중계플랫폼에서 무역금융거래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금융규제로 아직 서비스 제공자가 없다"며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거래하면 은행은 자금세탁방지, 각종 무역서류 심사비용을 줄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거래할 수 있으므로 국내은행도 플랫폼을 활용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정화 대한상의 구주통상팀장은 "국제무역금융의 트렌드는 지속가능무역금융, 디지털화, 금융·비금융 융복합화인데 한국은 대응이 느린 편"이라며 "무역금융에 대한 우리 기업 인식을 제고하고 국내 금융기업도 국제동향에 맞춰 융복합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도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