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전략비축유 방출 임박...韓·中·日도 동참 예상"

"3000만~3500만배럴 이상 방출 예상"
OPEC+ 증산량 조정 가능성에 국제유가는 반등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미국 정부가 국제유가를 진정시키고자 전략비축유(SPR) 방출 계획을 곧 발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석유시장을 둘러싼 주요 소비국과 산유국들간 힘겨루기가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플러스(+)는 여기에 반발해 증산량 감축을 시사하면서 국제유가는 오히려 반등했다. 일각에서는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심화되고 각국의 봉쇄조치가 재개되면서 수요 감소로 유가가 급락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미 정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르면 23일 SPR 방출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며 "한국과 중국, 일본, 인도 등이 SPR 방출에 동참할 가능성이 있으며 3000만~3500만배럴 이상의 방출이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미 백악관은 23일 바이든 대통령이 최근 인플레이션 상황 등 경제관련 연설이 있을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지난 15일 바이든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가진 화상 정상회담에서 SPR 방출 협조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요 석유소비국들이 방출 계획에 동참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미 비축유 방출작업을 진행 중으로 알려졌다. 한국과 일본정부는 미국의 요청을 받은 다른 국가들의 움직임을 보고 비축유 방출 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며, 인도 정부는 다른 국가들과의 의견조율을 통해 구체적인 조치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미 정부가 이처럼 주요국들과 연합해 이례적으로 대규모 SPR 방출을 계획 중인 이유는 올 들어 급격히 상승한 미국 휘발유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CNBC에 따르면 전미자동차협회(AAA)가 지난 21일 기준 집계한 미국 전역의 일반 무연휘발유 평균가격이 갤런당 3.41달러(약 4000원)로 지난해 11월 2.01달러 대비 70% 가까이 급등했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석유 소비국들의 SPR 방출 계획 소식에 OPEC+는 증산량 감축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미 정치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OPEC+ 회원국들은 미국의 SPR 방출이 본격화될 경우, 내달 2일 산유량 조정 회의에서 기존 매월 40만배럴로 유지하던 증산량을 감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유가는 미국과 OPEC+간 힘겨루기 속에 OPEC+의 증산량 감축이 예상보다 많을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상승마감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 거래된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대비 1.06% 오른 배럴당 76.75달러로 마감했다. 런던 ICE거래소의 북해산 브렌트유도 1.03% 상승한 79.70달러로 장을 마쳤다.


일각에서는 최근 유럽의 코로나19 재확산 심화에 따른 석유수요 감소 우려가 유가의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외환 중개 전문업체인 오안다의 크레이그 얼람 선임연구원은 "유럽 일부 국가의 확진자수는 걱정스러울 정도로 높으며, 각국 정부는 오스트리아와 같은 강력한 봉쇄조치 재개 행보를 따르고 싶어할 수 있다"며 "여러 국가들이 함께 규제강화에 나설 경우, 국제유가는 수요감소 우려에 몇주동안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