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찬스' MZ세대 자산 격차 심화…상위 20%가 하위 20%의 35배

[사진 제공=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실]

[사진 제공=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권서영 기자] 20~30대의 MZ세대 사이에서 자산의 격차가 점점 심화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오늘(11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은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지난해 20~30대가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1849만원이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2200만원 증가한 수치지만, 오히려 세대 내의 자산 격차는 확대됐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20~30대 내의 자산 하위 20%인 1분위의 평균 자산은 2473만원으로 전년 대비 64만원(2.6%)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상위 20%인 5분위의 평균 자산은 8억7044만원으로 전년보다 7031만원(8.8%) 증가했다. 이에 자산 상위 20%의 평균을 하위 20%의 평균으로 나눈 값인 5분위 배율은 지난 2019년 33.21배 대비 35.20배로 더 확대되어 불평등도가 악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령별로 나눠 살펴본 결과 특히 20대가 30대보다 자산 격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지난해 20대 가구 하위 20%의 평균 자산은 844만원, 상위 20%의 평균 자산은 3억2855만원이었다. 그러나 하위 20%의 평균자산은 전년 대비 115만원(-11.9%) 감소한 데에 반해, 상위 20%의 평균자산은 817만원(2.5%) 늘었다. 이에 20대 가구의 자산 5분위 배율은 지난 2019년 33.42배에서 38.92배로 악화했다.


반대로 소득의 격차는 30대가 20대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지난해 20대 가구의 자산 분위별 소득을 분석한 결과, 상위 20%의 자산을 가진 가구의 평균 경상소득은 5262만원, 하위 20%의 평균 경상소득은 2145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20대의 소득 5분위 배율은 2.45배로, 30대의 소득 5분위 배율인 3.05배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에 김 의원은 "20대 가구의 자산 격차가 소득 차이가 아닌 부의 대물림 때문이라는 점이 간접적으로 드러났다"라고 해석했다. 이어 "부모의 재력에 따라 출발점이 달라지는 기회의 불공정, 부의 대물림의 고리를 이제는 끊어야 할 때다"라며 "우리 사회가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조속히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권서영 기자 kwon19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