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 세가지 악재 "지금이 정점"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올 3분기 중국 증시를 둘러싼 전력대란과 제조업 셧다운, 헝다그룹과 부동산 경착륙 위험, 이로 인해 커지는 스테그플레이션 우려는 '통제된 위험 속 결과물'로 중국 증시에 상당 부분 반영돼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중국 투자전략 담당 연구원은 11일 중국 증시 주간 전망을 통해 "이달부터는 중국 정책의 결자해지와 단기 되돌림이 얼마나 빠르게 가격과 경기 하단 기대를 높이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같이 분석했다.


먼저 전력난의 경우 지난 8일 리커창 중국 총리가 주재한 국무원 상무회의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향후 6개월간의 석탄 공급 전면전(4분기 공급량 1억4500만톤), 전기료 대폭 인상(화력발전 동기부여), 지방정부의 일률적인 생산/송전 제한과 캠페인식 탄소저감 수정 등을 요구했다. 1억4500만톤으로는 그간의 부족분과 4분기 수요를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전력난과 석탄가격 급등을 더 악화시키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국경절 연휴 이후 첫 거래일인 지난 8일 연료탄 현물가격은 약 9% 급락하기도 했다.

이런 추세가 조성된다면 석탄 가격 하락의 종속 변수인 상품가격(철강/비철/화학/건자재중심)은 10월부터 하락세로 전환되면서 스테그플레이션 우려를 낮출 수 있다. 오는 14일 발표되는 9월 PPI가 이번 사이클의 정점을 가리키며, 단기적으로 'PPI 스프레드' 기대(에너지/소재 마진↑)는 한계치에 도달했다는 것을 시사하게 될 수 있어 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헝다그룹 생존 여부도 국경절 연휴 전후로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 국경절 연휴 직전 인민은행과 금융당국은 실수요 안정과 경착륙 방지를 위해 수요 규제의 완급 조절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헝다그룹의 자구책과 지방정부의 개입 가능성 확대로 기술적인 디폴트 위험은 연말 이후로 이연될 가능성이 있다. 지분 매각이 현실화 되면 연말까지 달러채 이자 7억달러 등에 대한 상환 위험은 낮아지게 되고 내년 2분기 원금 상환까지 시간도 확보하게 된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미중 합의를 통한 관세 인하 등 조치와 공급망 충격 완화 분위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지난달 양국 정상의 긴급 통화를 계기로 경제, 무역, 외교 분야 접촉 확대되고 있고 연말에는 정상회담 개최도 내다보는 상황이다. 김경환 연구원은 "다운사이드 리스크는 올 4분기 인민은행의 보수적인 통화정책 운용 가능성을 꼽을 수 있다"며 "당장 이달 3주차에 만기가 도래하는 1조1000억 위안 규모 역RP와 MLF에 대한 대응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전망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