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국감]'화천대유 늑장수사' 질타 이어지자…경찰청장 "초기 판단 잘못"

경·검 중복수사 논란에 "합동수사본부 효율적"

김창룡 경찰청장이 5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김창룡 경찰청장이 5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찰청 국정감사에서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에 대한 경찰의 '늑장 수사' 지적이 이어졌다. 김창룡 경찰청장은 "초기 판단이 잘못됐다"며 몸을 낮췄다.


경찰청이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으로부터 화천대유의 수상한 자금 흐름 관련 정보를 전달받은 것은 지난 4월이었다. 경찰은 서울 용산경찰서에 이를 배당해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고, 5월 말 이성문 전 화천대유 대표를 참고인으로 조사했다.

그러나 이후 정식 수사 전환 등은 이뤄지지 않은 채 입건 전 조사가 진행되다가 지난달부터 논란이 확산되자 최근 관련 사건을 모두 경기남부경찰청에 배당하고 전담수사팀을 구성했다. 5개월이 넘어서야 정식 수사에 착수된 데 대해 여야 위원들은 모두 초기 수사에 문제가 있었다고 질타했다.


김 청장은 위원들의 지적에 대해 "초기 판단이 잘못된 점에 대해서는 정말 드릴 말이 없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경찰 수사 역량이 부족하다거나 고의로 덮으려는 시도가 아니냐는 지적에는 전혀 그렇지 않다고 강조한다"면서 "어느 때보다 의지와 최대한 역량을 동원해 철저하고 신속하게 수사하겠다"고 말했다.


남구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도 "국민적 관심이 큰데 초기 대응이 아쉽다"며 "지금은 수사 체계를 조정해 제 책임하에 수사하고 있다"고 답했다.

현재 화천대유 관련 수사는 경찰은 물론 검찰에서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합동수사본부 설치 등을 요구하는 여야 의원들의 요구도 잇따랐다. 김 청장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건처럼 전(全) 정부 합동수사본부를 꾸리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밝혔다. 앞서 3월 내부정보를 이용한 공직자 부동산 투기 의혹이 불거졌을 당시 정부합동 특별수사본부가 꾸려졌던 것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다만 특검 도입에 대해 김 청장은 "의견을 밝히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을 아꼈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