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文 광복절 연설, 한일 역사문제 해결책 구체적 언급 안 해"

▲광복절 경축사 하는 문재인 대통령 [이미지출처=연합뉴스]

▲광복절 경축사 하는 문재인 대통령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 일본 주요 언론이 15일 문재인 대통령이 제76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한일 간 역사문제에 관한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교도통신은 내년 5월 임기 만료를 앞둔 문 대통령이 마지막 광복절 연설에서 "(한일 간) 대화의 문을 항상 열어두고 있다"면서 "국제사회의 보편적인 가치와 기준에 맞는 행동과 실천으로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했지만, 한일 역사문제 해결책에 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고 전했다.

요미우리신문도 인터넷판 관련 기사에서 문 대통령이 징용공과 위안부 문제에 대해 개별적인 언급을 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이 신문은 다만 "문 대통령이 '한일 양국이 지혜를 모아 어려움을 함께 극복해 나가며, 이웃 나라다운 협력의 모범을 보여주게 되길 기대한다'"고 한 점을 거론하면서 양국 관계 개선에 의욕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요미우리는 문 대통령이 '바로잡아야 할 역사문제를 국제사회의 보편적 가치와 기준에 맞는 행동과 실천으로 해결해 나가겠다'고 한 것에 대해선 '피해자 중심주의'를 고수하겠다는 뜻을 시사했다며 일본 측의 양보를 기대하고 있음을 내비친 것이라고 풀이했다.

마이니치신문은 문 대통령이 역사 문제 해결에 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면서 '한일 양국이 지혜를 모아 어려움을 함께 극복해 나가야 한다'는 말로 양국이 함께 풀어야 할 과제라는 인식을 다시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아사히신문은 문 대통령이 지난해처럼 일본과의 대화를 강조하면서 비판을 피했다고 했다.


그러나 양국 관계를 악화시킨 최대 요인인 징용공·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아사히는 또 문 대통령이 도쿄올림픽 개회식에 맞춰 방일해 스가 요시히데 총리와 회담할 생각이었다가 일본 측이 수출규제 철회 요구에 응하지 않는 등 회담 성과가 미흡할 것으로 판단, 방일을 보류했다고 지적한 뒤 임기가 9개월 남은 기간에 국제회의 등을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했다.


NHK방송도 문 대통령이 한일 대화에 긍정적 입장을 보였지만 징용공 문제 등에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NHK는 일본 정부가 이들 현안과 관련해 한국 정부의 적절한 대응을 요구하고 있어 문 대통령의 잔여 임기 중에 한일 관계가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