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결제원, 국내은행과 은행중심 '분산신원증명' 서비스 추진

8월 정보지갑 서비스 '마이인포' 출시

마이인포 증명서 목록 화면. 사진=금융결제원

마이인포 증명서 목록 화면. 사진=금융결제원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송승섭 기자]금융결제원이 국내은행 16개와 손잡고 은행 중심의 분산신원증명 서비스를 추진한다.


12일 금결원에 따르면 최근 국내은행 16곳을 중심으로 ‘금융분산ID 추진 협의회’가 출범했다. 협의회는 은행권 분산신원증명 서비스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은행 대표기구로서의 임무를 수행한다. 은행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상용화하는 게 목적이다. 정책당국에 은행 공동의 목소리를 내는 역할도 담당한다.

분산신원증명이란 이름과 생년월일 등 이용자의 신원정보나 각종 자격정보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의 정보 지갑에 발급받아 활용하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다.


은행권은 협의회를 통해 계좌확인서 등 은행이 발급하는 증명서를 분산신원증명으로 발급해 종이 없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공공 또는 민간기관에서 발급하는 신원·자격정보도 분산신원증명에 담을 수 있다. 향후 정책당국의 방향성에 부합하는 온라인 신원 확인 간소화 방안까지 검토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은행공동의 정보 지갑 서비스인 ‘마이인포’를 다음 달 중으로 출시한다. 은행권 분산신원증명 서비스를 상용화한 첫 사례다.

‘마이인포’는 은행과 공공기관에서 발급한 분산신원증명을 담을 수 있는 스마트폰 정보 지갑이다. 먼저 16개 은행에서 간편 로그인과 이체에 활용한다. 추후에는 발급 증명서를 확대하고 행정안전부의 모바일신분증을 연계시킬 예정이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