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옥동 신한은행장의 디지털 야심작…미래금융공간 '디지로그' 오픈

서소문, 남동중앙금융센터, 신한PWM목동센터 오픈

신한PWM목동센터 디지로그라운지

신한PWM목동센터 디지로그라운지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진옥동 신한은행장의 디지털 철학이 담긴 '디지로그 브랜치'가 문을 열었다.


신한은행은 최첨단 디지털 기술과 고객을 위한 따뜻한 감성이 함께하는 미래 금융공간인 디지로그 브랜치를 서소문, 남동중앙금융센터, 신한PWM목동센터에 오픈한다고 12일 밝혔다.

디지로그는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합성어로 최첨단 디지털 기술과 고객을 위한 따뜻한 감성이 함께하는 공간을 만들어 가겠다는 진 행장의 디지털 철학이 그대로 담아낸 공간이다. 진 행장은 '고객을 위한 진정한 디지털 혁신은 무엇인가'라는 화두와 함께 "고객중심을 위해서는 디지털 역량과 함께 고객을 위한 휴먼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해왔다.


신한은행은 디지털 혁신단 데이터 유닛을 통해 지난 10년 동안의 영업점 거래 고객의 거래 현황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 그룹별 최적화된 고객 여정을 설계했다.


직장인이 주로 찾는 디지로그 브랜치 서소문의 모든 상담업무는 100% 예약제로 운영되며 컨시어지 데스크(고객 안내) · CX존(고객 경험 제공)·컨설팅 라운지(고객 관계 강화)의 3단계 고객 여정을 통해 거래 목적에 따른 신속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다.

입·출금 및 제신고 등 단순업무 처리 고객은 컨시어지 데스크에서 안내를 받아 키오스크와 디지털 데스크를 활용해 셀프뱅킹으로 간편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상담 업무를 사전에 예약한 고객은 컨시어지 데스크에서 안내를 받아 곧바로 독립된 컨설팅 라운지에서 편안하게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예약 없이 영업점을 방문한 고객은 컨시어지 데스크를 거쳐 CX존에서 본인에게 맞는 금융상품 등을 추천 받고 신한 쏠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상품을 가입하며 필요 시 컨설팅 라운지로 이동한다.


신한은행은 오프라인 영업점 최고의 가치와 경쟁력은 고객이 많이 찾아올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바탕으로 처리할 업무가 없어도 언제든지 편하게 방문할 수 있는 금융공간을 조성했다.


디지로그 브랜치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CX존은 은행에 온 것이 맞는지 다시 한 번 간판을 확인할 정도로 기존 은행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꾸며졌다. 대형 원형 테이블의 디지털 화면에는 신한은행의 캐릭터 쏠(SOL)과 몰리(MOLI)가 나타나 신한은행이 준비한 다섯 가지의 디지털 금융 및 비금융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영업점 인근의 오래된 가게들의 사진을 디지털 앨범으로 제작해 영업점을 방문하는 고객에게 홍보하고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등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를 돕는 '우리동네 흑백사진관'도 주목할 만하다.


디지로그 브랜치에서는 매주 1회 신한은행의 최고 전문가들이 부동산, 금융투자, 환율 전망 등을 강연하는 '지식창고' 세미나도 운영한다. 강연 주제는 설문을 통해 고객의 관심이 높은 분야를 선정하고 강연 후에는 화상상담 창구인 디지털 데스크에서 은행 직원과의 상담도 가능하다.


기업고객이 주로 찾는 남동중앙금융센터에는 국가지원사업, 파생 상품 등 기업에 필요한 핵심정보를 디지털 기반으로 제공하는 고객용 콘텐츠가 추가로 마련됐으며 고자산 고객을 위한 신한PWM목동센터에는 금융정보와 함께 아트 큐레이션, 미술경매, 와인, 골프 등 다양한 비금융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테이블이 준비됐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디지로그 브랜치는 '은행 같지 않은 은행'을 목표로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공간 하나하나에 스토리를 담아 고객에게 즐겁고 혁신적인 금융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탄생했다"며 "디지털 기술과 휴먼터치가 결합된 디지로그 브랜치는 빅테크와는 차별된 신한은행만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