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통한 'K-암' 빅데이터 구축한다

보건복지부 CI (사진제공=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CI (사진제공=보건복지부)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정부가 위암과 대장암, 폐암 등 한국인에게 자주 발생하는 암 임상 정보를 빅데이터로 만드는 'K-캔서(Cancer·암)' 사업을 추진한다. 이후에는 'K-심뇌혈관'. 'K-호흡기(신종감염병 포함)' 등 다른 보건의료 데이터까지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건의료 데이터·인공지능 혁신전략'을 '제12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 보고했다고 이날 밝혔다.

복지부는 개인생성건강데이터(PGHD) 등 현장의 요구가 많고 활용성이 높은 분야의 표준화를 우선 추진한다. PGHD는 웨어러블 기기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이 작성, 기록 또는 수집한 증상, 생체 인식 데이터 등을 뜻한다. 이를 통해 축적된 정보로 빅데이터를 만들면 의학·산업적 가치 창출이 가능하다.


복지부는 2025년까지 유전체 등 바이오, 병원 임상기록, 공공보건의료데이터을 중심으로 한 3대 원천 데이터 플랫폼을 완성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희귀질환 10만명, 암 10만명, 난치질환 20만명, 만성질환자 및 건강인 등 60만명 등 총 100만명 규모의 통합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한다. 이 빅데이터는 맞춤형 치료·정밀의료 등에 활용하기 위한 국가 전략자산화가 추진된다.


데이터 중개·분양 지원 방안도 마련됐다. 이를 위해 컨설팅 지원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공공기관과 의료데이터중심병원 등 빅데이터 보유 기관의 안전한 데이저 제공 역량을 평가해 '안심분양센터'로 지정한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