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심부전증 발생빈도 81% 높아" 가명정보 결합 성과

국립암센터, 결합데이터에 기반한 암 환자의 장기 합병증과 만성질환 예측 연구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암 환자들이 일반 환자보다 심부전증을 비롯한 만성질환 합병증을 겪을 가능성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가명정보 결합을 통해 파악된 결과로, 향후 6대 암종별 장기 합병증과 만성질환의 세부 발생 현황, 위험요인 등을 파악해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예측 모델까지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일 국립암센터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국립암센터에서 진료를 받은 주요 6대 암 환자의 장기 합병증과 만성질환 발생을 9년간 추적조사한 결과로, 빅데이터 가명정보 활용 5대 분야 7개 과제의 하나로 추진됐다.

이번 연구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국립암센터 임상 정보(20만명)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정보(20만명) 등 건강관련 빅데이터를 가명처리해 결합했다. 이를 기반으로 암 생존자에게 주로 발생하는 합병증과 만성질환 등 중요 정보를 관찰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국립암센터를 방문한 환자 중 암이 없었던 환자(일반 환자)에 비해 암 환자들은 심뇌혈관질환, 대사질환, 근골계질환 등 만성질환과 합병증의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 심부전증 발생빈도 81% 높아" 가명정보 결합 성과 원본보기 아이콘


먼저 심뇌혈관 질환을 살펴보면 암 환자는 일반환자 보다 심부전 발생빈도가 81%나 높았다. 심근경색은 50%, 뇌졸중은 25% 높았다. 근골격계질환의 경우 골절은 발생빈도가 47%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대사질환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당뇨병의 발생은 35% 더 많았다.


국립암센터는 "일반 환자에 비해 암 환자에서 대사질환, 심뇌혈관질환, 근골격계질환 발생이 많았으며, 이는 암 생존 후 장기적인 합병증과 만성질환의 지속적인 관리와 예방이 중요함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국립암센터는 향후 심층분석을 통해 6대 암종별 장기 합병증과 만성질환의 세부발생현황과 발생 주요 요인을 파악할 예정이다.


나아가 이번 결합데이터를 적용한 인공지능(AI) 학습을 통해 암 생존자들의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장기적인 질환에 대한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서홍관 국립암센터 원장은 “암 생존율이 향상되면서 암 생존자가 200만 명에 이르는데 암 생존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암 치료 이후의 적극적인 건강관리가 매우 필요하다”며 “이번 시범사례를 통해 암 생존자의 만성질환 관리뿐만 아니라 정밀의료를 통한 임상의료 효율이 증대할 것”으로 기대했다.


윤종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사례는 지난번 폐암 치료효과 연구 사례에 이어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의 가능성을 보여준 결과”라며 “향후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의 또 다른 축인 마이데이터와 연계해, 실증데이터와 예측모델에 기반한 맞춤형 의료서비스까지 개발된다면 국민건강 증진에 다양하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