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극적 목표는 한반도 비핵화" 바이든, 외교적 관여 의지 재확인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북한 비핵화에 대한 외교적 관여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 문제를 담당할 대북특별대표로 성김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을 임명했다. 그는 '비핵화의 상당한 진전'을 전제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열어뒀다. 다만 사전 실무협상을 통해 일정한 진전이 없다면 만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을 한 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성김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을 대북특별대표로 임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티븐 비건 전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가 지난 1월 퇴임한 이후 이 자리는 4개월 간 공석이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가 우리의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 비핵화에 대해 "환상을 갖고 있지 않다"며 "지난 4개 행정부가 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이것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실현이) 어려운 목표"라고 했다.


북미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해선 가능하지만 비핵화에 관해 북한의 진전된 약속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가 어떤 약속을 한다면 나는 그를 만날 것"이라며 "이 약속은 핵무기에 관한 논의가 있다는 것이어야 한다"고 했다. 실무급 협상을 거쳐 북한의 비핵화에 관한 실질적 약속을 확인한 뒤 만나겠다는 발언으로 해석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북미정상회담이 비핵화 진전에 실패한 것은 물론 국제사회에 북한의 체제 정당성만 제공했다고 비판해왔다. 그는 이를 염두에 두고 "최근에 일어난 일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자신의 두 번째 대면 정상회담 상대라며, 이는 미국이 한국과 70년간의 동맹에 얼마나 가치를 두고 있는 지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양국 파트너십이 공동 안보에 대한 약속에 기반했으며 한미동맹은 오랫동안 평화와 안보, 번영의 핵심축이었다고 덧붙였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