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한미정상회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앞당기는 계기 되어야"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내달 진행되는 한미정상회담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시간표를 앞당기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남북 중앙정부 간의 대화가 재개되기 전 민간·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교류·접촉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29일 서울 남북회담본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대북정책에 대한 한미간 전략적 조율을 바탕으로 (한미정상회담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시간표를 앞당기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장관은 곧 발표될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 결과에 대해서는 "한미가 긴밀히 소통한 만큼, 큰 틀에서는 비핵화에 대한 단계적·동시적 접근에 따라 제재에 유연성이 발휘될 가능성이 있다"며 "북한 인권 문제에 있어서는 원칙적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인도적 협력은 일관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북관계 개선 차원에서 우리 정부의 노력도 강조했다. 이 장관은 "우리 정부는 언제 어디서든, 어떤 의제나 형식에 관계없이 모든 것을 열어놓고 북측과 마주해 대화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 번 분명히 밝혔다"며 "대화 재개 노력과 함께, 보건·의료방역 협력을 시작으로 민생 협력으로 확대하는 포괄적 인도 협력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포괄적인 대북제재를 골자로 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안도 제재가 북한 주민들에게 부정적인 인도적 영향을 미치거나, 인도적 지원 활동을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는 않다"며 "관련한 제재의 유연한 적용 문제가 걸림돌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남북 정부 당국간의 대화 단절 속에서 민간이나 지자체의 협력 사업을 통해 물꼬를 트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이 장관은 "지자체가 남북관계 개선의 주체가 되기 시작했으니, 지자체 차원의 교류와 접촉이 활성화되면 통일부 차원에서는 좋은 일"이라며 "(남북) 당국간의 공식적인 접근이 되기 전이라도 민간 차원에서의 교류나 접촉은 먼저 활성화되는 과정이 있으면 먼저 진행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미래를 이끌어갈 2030세대에게 통일부 행사와 관련한 '청년 쿼터'도 제공한다. 이 장관은 "새로운 한반도 평화체제의 마당을 미래세대에게 전부 내주어도 좋다는 마음가짐으로 그들 스스로 마음껏 창조하고 디자인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통일부에서 주관하는 여러 행사에 일정규모의 '청년 쿼터'를 배정해 2030세대의 참여를 적극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하반기로 갈수록 정치적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 "미국의 대북정책이 마무리되면서 불확실성이 걷혀 나가는 올해 상반기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의 적기"라며 "남북미 모두 함께 다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로 나아갈 수 있는 절호의 기회, 최적의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