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상원, 반도체 공급망 관련법 준비...바이든 "우리만의 공급망 필수"

민간업체 타격은 물론 국가안보상 문제로 인식
12일 백악관서 반도체 회의...기업들과 방안논의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미국 상원에서 반도체 공급부족 문제와 관련된 공급망 안정화 법안을 발의할 계획으로 알려지면서 미국 내 반도체 생산 증가와 대중 견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백악관도 오는 12일 미국 내 주요 완성차 업체들과 삼성전자 등 글로벌 반도체업체들과 함께 대응방안을 논의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7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발표한 인프라 투자 법안에서 의회의 협력을 강조하면서 "초당적 그룹이 3∼4주 전 반도체 문제로 찾아왔다"며 "그들은 '우리는 우리의 공급망을 가져야 한다, 우리는 협력해야 한다'고 했고 우리는 노력하고 있다. 척 슈머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와 미치 매코널 상원 공화당 원내대표가 반도체 공급망과 관련해 법안을 발의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백악관도 오는 12일 제너럴모터스와 포드 등 미국 자동차 대표 업체들과 삼성전자 등 글로벌 반도체 제조업체 등과 함께 반도체 공급망 대응 방안회의를 열 계획으로 알려졌다.

해당 법안에는 미국 업계에 안정적으로 반도체 칩을 공급하기 위한 지원방안 등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든 행정부는 물론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은 모두 반도체 문제가 단순 민간 자동차업체나 가전업체들의 조업중단 등 경제문제일 뿐만 아니라 국가안보와 직결된 문제로 보고 있다. 이에따라 해당 법안에는 공급망 보호를 위한 미국 내 반도체 생산량 확대와 함께 중국을 견제하는 방안이 함께 들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 반도체산업협회 전망에서 미국의 전세계 반도체 점유율은 지난해 12%에서 2030년 9%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중국은 지난해 12%에서 2030년 28%까지 점유율이 올라갈 것으로 집계됐다. 반도체는 스텔스 전투기는 물론 초음속 탄도미사일 등 첨단 전략무기 운용에 필수품인만큼 미국 정계에서는 중국에 반도체 주도권을 넘겨선 안된다는 인식이 초당적으로 퍼져있는 상태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