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탄소인지예산제 도입한다

경기도, 탄소인지예산제 도입한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탄소인지예산제'를 도입한다.


탄소인지예산제는 예산이 투입되는 각종 정책을 추진할 때 탄소감축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해 이를 예산 편성과 집행에 반영하는 제도다.

도는 지난 1월 탄소인지예산 도입 관련 용역을 시작해 연구를 진행 중이며 오는 9월 결과를 발표한다.


도는 용역을 통해 재정 투자가 탄소 감축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화 할 수 있는 분석 틀을 마련한다.


용역 내용은 ▲온실가스 배출 및 감축 영향사업 분류기준 마련 ▲탄소영향 반영을 위한 예산서 및 평가지표 개발 ▲평가결과 활용방안 등이다.

도는 앞서 지난해 국내 최초로 10억원 이상 예산이 필요한 63개 사업을 선정해 탄소영향 평가를 시범 실시했다.


평가 결과 착공하거나 안전상의 이유로 반영을 못한 10개 사업을 제외한 53개 사업 가운데 온실가스 감축량 계량이 가능한 26개 사업에서 1만8419톤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 별로는 건축 11개 사업 8416톤, 에너지ㆍ산업 8개 사업 4422톤, 교통 3개 사업 4007톤, 축산 1개 사업 3.6톤, 산림ㆍ공원 3개 사업 1570톤 등이다.


이는 소나무 약 270만 그루를 심은 효과와 같은 온실가스 감축량으로 계량화가 어려운 사업까지 고려하면 실제 감축효과는 더 클 것으로 도는 전망하고 있다.


김경섭 도 기후에너지정책과장은 "탄소인지예산 도입은 파리협정 목표 이행과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공공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인식 제고와 선도적 정책추진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며 "용역 결과를 토대로 조례를 제정하는 등 탄소인지예산이 실효성있는 정책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