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AI-디지털 트윈기술로 햇빛발전소 설치

드론 활용 3D입체 지형정보 구축…AI로 설계·유지보수까지

광주형 AI-디지털 트윈기술로 햇빛발전소 설치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박선강 기자] 햇빛발전소 설치에 드론을 이용한 원격탐사부터 설계, 유지관리까지 디지털 트윈(현실 사물의 가상현실 쌍둥이 객체) 기술이 적용된다.


광주광역시는 18일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김광란 시의회 그린뉴딜특별위원회 위원장, 장연주 시의회 그린뉴딜특별위원회 부위원장, 전문가, 시민 등 3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에너지자립도시 추진상황, 태양광 설치계획 설명회 및 ‘광주형 인공지능-디지털 트윈’ 기술 특강을 했다.

이날 설명회 및 특강에서는 광주시내 공공 유휴부지 46개소에 7.4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를 비롯해 2순환도로 방음터널 등을 활용한 37.66km구간에 67.3MW 규모의 햇빛발전소 설치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햇빛발전소 설치는 광주형 AI-디지털 트윈 기술이 적용될 전망이다.


전문가 설명에 따르면 기존의 디지털 트윈기술은 현실의 사물을 가상공간에 똑같이 복사하는데 그치지만, ‘광주형 인공지능(AI)-디지털 트윈’ 기술은 드론을 통한 원격 탐사부터, 태양광 발전시설 가상 설계 및 분석,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을 통한 유지보수까지 가능하다.

드론이 광주 상공을 비행하면서 지형정보를 실시간 수집해 인공지능 기반 ‘태양광 패널 점검 플랫폼’에 정보를 전송하면, 인공지능이 3D 입체지도를 제작하고 열화상 정보, 연간 일사량 및 발전량 등을 분석한다.


발전량 등 분석된 정보를 활용하면 유휴지, 건물 옥상 등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새로 설치할 수 있는 최적 위치와 설치가능 면적을 손쉽게 확인 할 수 있고, 기존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의 정상 작동여부도 인공지능이 실시간 데이터를 딥러닝으로 스스로 분석해 점검한다.


입체지도 위에 발전소를 가상으로 설계하면 인공지능이 투자비와 발전수익을 분석해 태양광 보급사업의 추진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수집·분석된 입체 지형정보는 태양광 설치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 관리, 재난재해 예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다.


참석자들은 설명이 끝난 후 제2순환도로 현장을 직접 방문해 드론으로 분석한 자료와 현장상황을 비교하며 햇빛발전소 추진계획을 점검했다.


손경종 시 인공지능산업국장은 “광주의 그린뉴딜은 우리시의 강점인 인공지능과 연계해 추진함으로써 다른 지역의 그린뉴딜과 차별화 된다”면서 “에너지 자립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도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등 국내외 모범 사례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박선강 기자 skpark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