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경제 '빨간불' 켜졌나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외교가에서 북한 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북한 노동당이 2차 전원회의를 사흘째 이어가며 경제계획 집행에 대한 법적감시와 통제를 강화할 것임을 시사한 데 이어 북한을 방문했던 외교관들이 경제 이상 징후를 목격한 증언들이 전해지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노동당 중앙위원회 8기 제2차 전원회의 3일차 회의에서 "(김정은 당 총비서가) 인민경제계획의 수립과 집행과정에 대한 법적감시와 통제를 강화하는 것이 가지는 중요성을 지적했다"고 보도했다.


이뿐 만이 아니다.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국경 봉쇄로 북한에서 각종 물품 조달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마체고라 대사는 지난 8일(현지시간) 자국 인테르팍스 통신과 한 인터뷰에서 "모든 곳에서 모두가 그렇겠지만 솔직히 평양 생활이 쉽지 않다"면서 코로나19 봉쇄로 인한 북한 내 생활의 어려움을 털어놨다.

그는 "북한은 지난해 1월 이미 국경을 폐쇄했고 그 이후 북한에서 출국하는 것은 그래도 가능성이 있지만 입국은 북한인이라도 전혀 불가능해졌다"면서 "동시에 북한 정부가 상품 수입도 제한하면서 (지난해) 8월까지는 현지 비상방역위원회 지도부의 특별 결정에 따라 국가에 필수적인 물품은 들여올 수 있었지만, 9월 태풍 이후엔 수입이 완전히 금지됐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러한 자체 봉쇄는 경제는 물론 주민들의 생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수입 재료, 원자재, 부품 등이 없어 많은 기업이 멈춰서고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아이들은 사실상 거의 1년 동안이나 학교에 가지 못하고 집에 있다"고 전했다.


마체고라는 봉쇄 조치는 북한 거주 외국인에게도 똑같이 적용되고 있다면서, 지난해 1월부터 외교관들이 평양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금지됐고 아이들은 대사관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외국인들에게 약 300곳의 평양 내 상점과 1곳의 특별 시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됐지만, 수개월의 봉쇄 뒤에 매대 물품은 최저 수준으로 줄어 밀가루·식용유·설탕 같은 기본 식료품을 구매하는 것조차 어려워졌으며 옷가지나 신발도 없다"면서 "뭔가를 살 수 있다고 하더라도 가격이 위기 이전보다 3~4배 비싸다"고 실상을 전했다.


그는 대사관 직원의 아이들이 크면서 옷이나 신발이 맞지 않아 부모들끼리 서로 물려주기를 하면서 버티고 있는데, 약품 부족이나 치료를 위한 귀국 불가 상황은 실제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북한 당국은 코로나19가 북한에서 발생할 때를 대비한 충분한 의료기반시설이 없기 때문에 할 수 있는 것은 철저한 코로나19 유입 차단이라는 것을 공공연히 인정하고 있다"면서 쉽게 봉쇄를 풀 수 없는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그럼에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북한이 상품 도입을 위해 국경을 일부 개방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현재 북한이 러시아를 비롯한 인접국과의 국경에 대규모 방역 시설을 건설하고 있는데 이는 안전한 상품 수입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