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오르면 소비충격은…근로자 > 은퇴자"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통화정책 긴축으로 금리를 올릴 경우 은퇴한 사람들보다 직업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은행 BOK경제연구 '통화정책이 근로자와 은퇴자의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통화정책 긴축을 통해 금리가 오르면 근로자보다 은퇴자의 소비가 더 적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상윤 한은 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통화정책 충격에 따른 금리 상승 및 경기위축은 임금을 하락시키기 때문에, 가계의 임금소득은 감소하는 반면 이자소득은 증가한다"고 분석했다. 통화정책이 반대로 이뤄지며 금리가 하락할 경우, 가계의 임금소득은 증가하는 반면 이자소득은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상 은퇴자들은 임금소득 비중은 적고 금융자산 등을 통한 이자소득 비중이 크다. 따라서 금리가 오르면 이자를 통해 벌어들이는 돈이 커져 근로자들의 소득에 비해 덜 줄어든다는 설명이다.


송 연구위원은 "특히 근로자 대비 은퇴자의 금융자산이 많은 미국과 일본 등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며 "근로자와 은퇴자 간 금융자산의 차이가 통화정책에 따른 소비 반응 차이가 나는 한 요인임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미국과 이탈리아 은퇴자들은 주로 저축과 채권을 통해 금융자산을 갖고 있으며, 일본과 한국의 경우 저축을 통한 금융자산이 많다. 근로자 대비 은퇴자의 금융자산 규모는 미국 1.74배, 일본 1.85배, 이탈리아 1.08배 등이다. 한국의 경우 0.86배로 은퇴자들의 금융자산이 근로자보다 많지 않다.


연구에서 송 연구위원은 통화정책이 소비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한 경제 내의 근로자 대비 은퇴자 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은퇴자 비율이 높을수록 통화정책이 소비에 미치는 효과가 약화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통화정책이 소비에 미치는 파급효과의 크기는 고령화에 대응한 각종 노동정책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며 "정년연장, 은퇴자 대상 재고용 정책 등은 은퇴자 비율을 낮추고, 은퇴자 소득 중 임금소득 비중을 줄여 통화정책이 소비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조언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