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은행 금융 지원 136兆…신한 35兆로 가장 많아

민형배 의원 "은행별 편차, 정부의 합의로만 이뤄진 탓"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한산한 홍대 거리. 집합금지 조처가 내려진 업종들은 문을 닫았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한산한 홍대 거리. 집합금지 조처가 내려진 업종들은 문을 닫았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지난해 코로나19 피해 대응 과정에서 은행별 금융 지원 실적이 크게 갈렸다. KB국민은행은 신한은행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코로나19 관련 금융권 지원 실적 자료에 따르면 은행을 비롯한 모든 금융권에서는 지난해 2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37조2394억원을 지원했다.

지원 부문별로는 만기 연장 및 원금상환 유예가 85조970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규 대출 51조1592억원, 이자 납입 유예 1096억원 등이다.


금융사별로는 단연 은행의 금융 지원이 135조9937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은행은 만기 연장 및 원금 상환 유예 방식으로 84조8348억원을 지원했다. 신규 대출은 51조1009억원, 이자 납입 유예는 580억원이었다.

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 가운데 지원액은 신한은행(35조2572억원)이 가장 많았다. 이어 우리은행(25조5992억원), 하나은행(21조9519억원), 농협은행(12조6980억원), 국민은행(12조3879억원) 순이다.


이와 관련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 금융지원 전담창구를 운영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금융 지원을 당부하는 내부 문서를 수시 발송하고, 지원 실적을 핵심성과지표(KPI)에 반영하는 등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및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금융혜택을 드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 의원은 "코로나19 금융 지원은 제도적 뒷받침 없이 금융사와 정부의 합의만으로 이뤄졌다"며 은행별로 실적 편차가 큰 이유를 분석했다. 이어 "외국과 달리 금융권의 선의에만 의존해 지원하는 것은 문제"라며 "채무자의 불가피한 사정을 고려해 사적 채무조정을 제도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