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 백신 "65세 이상 접종 신중"…추후 질병청서 판단

식약처, 조만간 최종점검위서 결론…예방접종전문위서 고령층 접종 재논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65세 이상 접종 신중"…추후 질병청서 판단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이춘희 기자] 고령층 사용 논란을 빚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앙약사심의위원회가 현재 진행 중인 임상시험 결과 제출을 조건으로 품목 허가하도록 했다.


특히 논란이 된 만 65세 이상 접종에 대해서는 추후 열릴 질병관리청 예방접종전문위원회에서 추가 논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5일 식약처는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안전성·효과성 등 자문을 위해 전일 열린 중앙약심 회의에서 효능·효과는 유럽과 동일하게 만 18세 이상으로 하되, 사용상 주의사항에 ‘만 65세 이상의 백신 접종 여부는 효과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라는 내용을 반영하기로 했다.


또 추후 미국 임상시험 결과에 대한 분석 자료를 제출할 것을 권고했다. 최근 유럽 각국이 고령층에 대한 접종을 유보하면서 신중론에 무게가 실린 것이다.


지난 1일 식약처는 ‘코로나19 백신 안전성·효과성 검증 자문단’ 회의에서 "임상자료가 적지만 투여를 배제할 수 없다"며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게도 접종할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 전일 열린 중앙약심에서도 큰 틀에서는 품목 허가에 무게를 뒀지만 임상 결과 제출을 조건으로 달았다는 점에서 분위기는 사뭇 달라졌다.

다수가 고령층 허가 의견을 냈던 1차 검증 자문단 회의와는 달리 2차 검증단계인 중앙약심에서는 고령층 효과를 두고 위원들의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 독일·스웨덴·프랑스·노르웨이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만 65세 미만에게만 접종하기로 하고, 스위스에서는 ‘고령층 효과에 대한 명확한 결과가 없다’라며 승인을 거부하자 분위기가 달라졌다. 위원들 내부에서도 "심도 있는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식약처는 당초 자문 결과를 중앙약심 회의 당일인 전일 오후 5시 발표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예상보다 회의가 길어지면서 저녁 늦게 회의가 종료됐고, 결과 발표도 하루 연기됐다. 최종 결정을 내리기까지 막판 진통을 거듭한 것이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화이자와 함께 이달 국내에서 고령층을 대상으로 첫 접종이 개시될 예정이라 안전성·효과성을 놓고 위원들의 격론이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독일·프랑스처럼 65세 미만에게만 접종을 허용할 경우 당장 2월부터 요양병원 고령층 등 75만명을 대상으로 접종을 실시한다는 계획부터 틀어지기 때문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1차 검증 자문단과 2차 중앙약심 자문을 통해 얻은 전문가 의견, 효능·효과 등을 종합해 조만간 ‘최종점검위원회’를 열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허가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질병청은 "식약처의 최종 허가·심사 이후 그 결과를 반영하고, 코로나19 백신분야 전문가 자문단 검토와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65세 이상 어르신에 대한 접종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