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청문회, '北 원전' 뜨거운 감자로…鄭 "CPTPP 참여 검토"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 발언을 하고 있다./윤동주 기자 doso76@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 발언을 하고 있다./윤동주 기자 doso76@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야권의 ‘북한 원전’ 의혹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거론된 적이 없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정 후보자는 중국과 러시아 정상의 방한을 추진하며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참여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5일 오전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이 북한 원전 문건 제작 경위를 묻자 "실무자로서 장래에 가능할 경우에 대한 아이디어 차원으로 짐작되지만 취지는 정확히 모르겠다"고 답했다. 정 후보자는 정부가 북한에 원전 건설을 지원한다는 문건을 전달했을 것으로 의심 받고 있는 남북 정상회담 개최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으로서 관련 논의를 총괄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러나 이 의원은 ‘공무원이 상부 지시 없이 실현 가능성 낮은 사업보고서를 만들 수 있느냐’고 따져 물었고, 정 후보자는 "상부 지시는 없었다"며 "당시 여러 언론 매체에서 북한에 원전을 지어줘야 한다는 그런 기사들이 많이 실렸다"고 했다. 이어지는 추궁에도 "정부 차원에서 검토된 아이디어가 아닌, 실무 차원의 검토"라고 답했다.


정 후보자는 이날 모두발언에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선택이 아니라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이라고 밝히며 바이든 행정부와 정상급·고위급 교류를 추진하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야당은 증인·참고인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강하게 항의했다. 국민의힘 외통위 의원들은 청문회 직전 기자회견을 갖고 "존 볼튼 당시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이수혁 주미대사, 김도균 수도방위사령관 등을 증인·참고인으로 요청했지만 민주당이 합의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