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새 148만마리…환경부, AI 비상대응체계 유지

AI 관련종인 오리과 조류 전월比 15만마리↓
1월 전국 오리과 조류(오리류·기러기류·고니류) 분포 현황.

1월 전국 오리과 조류(오리류·기러기류·고니류) 분포 현황.

원본보기 아이콘

[세종=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전국적으로 겨울철새가 약 148만마리 확인됨에 따라 환경부가 야생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 예방을 위한 비상 대응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국립생물자원관과 전국 주요 철새도래지 206곳을 대상으로 지난 15일부터 3일간 겨울철새 서식 현황을 조사한 결과 겨울철새가 전국적으로 196종, 약 148만마리가 확인됐다고 21일 밝혔다.

분석 결과 전체 겨울 철새 수는 전월 대비 약 9만마리(6%↓), 전년 같은 달 대비로는 약 15만 마리(9.3%↓)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관련 종인 오리과 조류(오리·기러기·고니류)의 수도 전월 대비 약 15만마리(13.1%↓)가 감소했다. 특히 기러기류가 전월 대비 37.2% 감소(34만9950마리→21만9752마리)했다. 이는 최근 기온 급강하로 인해 기존 서식지의 먹이자원이 소진되면서 소규모 무리로 분산돼 조사지역을 벗어나거나 중국 남부 등 국외로 이동했을 것으로 환경부는 추정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번 1월 겨울철새 현황조사 결과를 관계기관에 즉시 알리는 한편 철새가 북상하는 2~4월까지는 야생조류 인플루엔자가 지속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확산 예방을 위한 비상 대응체계를 유지한다.

상시예찰 대상 철새도래지(87곳)에 대한 예찰을 지속하고, 특히 금강호와 동림저수지, 만경강 중·하류, 무안-목포 해안 등 오리과 조류가 다수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지역은 집중 예찰지역으로 지정해 분변 채취를 매주하는 등 예찰 활동에 집중할 계획이다.


또 지방자치단체와 협조해 전국의 주요 소하천(254곳 선정) 등에 대해서도 예찰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야생조류 폐사체 등 특이사항 발견 시 조속한 수거 조치 등을 통해 주변으로의 전파를 방지할 방침이다.


박연재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이번 조사 결과를 볼 때 철새가 여전히 우리나라에 많은 개체 수를 형성하고 있어 앞으로도 AI의 지속 발생이 예상됨에 따라 각별한 경각심을 갖고 예찰 및 방역 현황 점검 등 AI 확산 방지를 위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