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따릉이' 이용 지난해 2300만건…비대면 교통수단 자리매김

일년새 대여건수 24% 증가…코로나 확산 2~4월 따릉이 이용 59.1% 급증
이용자 54% 출·퇴근시간 집중…회원 수 서울시민 4명 중 1명 꼴

서울시 '따릉이' 이용 지난해 2300만건…비대면 교통수단 자리매김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된 가운데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병 국면에서 비대면 교통수단인 따릉이가 생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따릉이 대여건수는 2370만5000건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민 1명당 2번 이상 따릉이를 이용한 셈이다. 특히 코로나19 첫 대규모 확산이 있었던 2~4월 이용이 전년 동기 대비 59.1%나 증가했다. 3월엔 74.4% 증가해 최대치를 기록했다.

회원 수도 크게 늘었다. 따릉이 누적 가입자 수는 278만6000명을 넘어섰다. 서울시민 4명 중 1명 꼴이다. 작년 신규 가입자는 역대 가장 많은 120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회원가입은 대다수가 2030세대(64.7%)로 청년층에서 인기가 높았고, 이용빈도는 5060세대가 두각을 나타냈다.


주말보다는 평일에 특히 출·퇴근시간대에 이용자 54%가 집중됐다. 대중교통 이용 전후의 틈새를 잇는 출근시간대에는 마곡나루역, 여의나루역 등 지하철역 인근에서 대여하고 여의도 등 업무지구에서 반납하는 양상을 보였다.


서울시는 서울시민들이 감염병 국면에서 거리두기가 가능한 비대면 교통수단인 따릉이를 즐겨 찾으면서 생활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에 서울시는 따릉이를 총 3만7500대까지, 대여소는 총 3040개소까지 확대했다. 전국 지자체 공공자전거 중 가장 큰 규모다. 이용편의도 높였다. 크기와 무게를 줄인 ‘새싹따릉이’ 2000대 도입하고 이용연령도 13세로 낮춰 나이·체구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QR형 단말기도 도입했다.


불특정 다수가 공유하는 시설물인 만큼 철저한 방역·소독에도 나서고 있다. 전체 대여소에 방역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한편 손세정제도 2개씩 비치했다. 지난해 8~11월에는 취업취약계층 공공일자리를 통해 총 140명의 ‘따릉이 방역단’을 구성·운영했다. 대여소, 자전거 등 시설물 표면을 수시로 소독하고 손소독제 잔량 확인 후 교체 등 방역체계를 가동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