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코로나19 확진 등 혼란에도…경기부양책이 증시 버팀목 될 것"

정치적 불확실성 커지지만 경기부양책 합의는 진행 중
향후 추가 정책 카드에 이목 집중 전망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는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국내 연휴 기간 동안 꾸준히 상승하던 미 증시가 일제히 하락 반전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관건은 정치권이 현재 협의 중인 추가 경기부양책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월터 리드 군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 1차 TV 토론 이후 지지율이 40%대에서 이후 30% 후반대로 하락한 상황에서 겹악재가 터진 것이다. 경쟁상대인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의 지지율은 TV토론 후에도 60%대를 유지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국내 연휴 기간 동안 꾸준히 상승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과 S&P성장주가 트럼프 확진 판정 당일 각각 2.2%, 1.7% 하락하며 마감했다.

"트럼프 코로나19 확진 등 혼란에도…경기부양책이 증시 버팀목 될 것" 원본보기 아이콘


다만 모든 시장이 급락한 것은 아니다. 달러지수(현재 93.8p/9월 말 93.9p)와 역외 위안화 환율(현재 6.75위안/9월말 6.78위안)에는 큰 급등이 없었다. 이재만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하이일드 스프레드도 510bp(bp=0.01%포인트)로 하락세를 유지했고, 중소형주지수인 러셀2000지수는 3일 연속 상승했다"며 "특별히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악화됐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오히려 주식시장은 지지율이 낮아진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할 수 있는 정책 카드에 주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달 실업률이 감소했지만 민간부문 신규취업자수는 지난 6월을 정점으로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영구적인 실업자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고용시장의 회복이 여전히 미흡하다는 시각이 나오는 이유다. 때문에 재정지출의 필요성이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 간의 재정부양책 협상도 교착상태에서 벗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2일 낸시 미국 하원의장은 "부양책 협상이 낙관적"이라고 언급했으며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도 "서로간 합의 중"이라고 밝혔다.


올해 들어 미국 정부지출 증가율 전년 대비 하락하고 있지만, 선행지표인 자본재(국방 제외) 수주액 증가율은 2개월 연속 전년 대비 상승한 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다우운송지수도 자본재수주액 증가율 상승 전환과 재정부양책 합의 도출 기대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S&P500 성장주 상장지수펀드(ETF)에서는 자금이 유출되고 있지만, 다우운송

지수 ETF로는 8월 이후 꾸준히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이 연구원은 미국 재정부양책 합의 가능성이 높진다는 점이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아진 주식시장의 버팀목 역할을 해 줄 것으로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민주당과 공화당 간의 재정부양책 금액에는 아직 차이가 있긴 하지만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중점을 두고 있는 친환경 투자와 공화당의 트럼프 대통령이 중점을 두고 있는 전통 인프라와 5G 투자에 대한 관심은 높아질 것"이라며 "나스닥 클린에너지와 S&P500 테크 ETF로는 자금 유입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 이를 방증한다"고 설명했다.

국내 증시에서도 미국 재정부양책 및 양당 투자 관련해 연결될 수 있는 대표 기업은 삼성전자 (5G)와 현대차 (수소 및 전기차)가 꼽힌다. 지난달 전년 동기 대비 국내 반도체 수출증가율은 +12%, 자동차는 +23%를 기록하며 국내 수출 개선(전년 동기 대비 8월 -7.5%→ 9월 +3.6%)을 주도했다. 두 품목 모두 지난해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었다. 이 연구원은 "국내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 개선은 삼성전자와 현대차의 이익 개선에 대한 신뢰를 높여줄 것"이라며 "두 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 시각 개선에도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