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공사·울산시·현대중공업,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협약 체결

한국형 부유식 풍력 발전체계 구축 위해 상호협력 강화
동해1 가스전 해상 시설물 연계 200MW 규모 추진

한국석유공사와 울산시, 현대중공업이 8일 '동해1 한국형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체계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식'을 갖고 있다.

한국석유공사와 울산시, 현대중공업이 8일 '동해1 한국형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체계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식'을 갖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한국석유공사(양수영 사장)는 8일 현대중공업과 ‘동해1 한국형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체계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식’을 갖고 해상풍력 사업 참여 기업·기관과 본격적인 협력체계 가동에 들어간다.


이날 업무협약식에는 송철호 울산시장과 양수영 한국석유공사 사장, 한영석 현대중공업 사장이 참석했다.

석유공사는 동해1 가스전 생산시설을 활용한 200MW 규모의 ‘동해1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을 한국동서발전과 노르웨이 국영석유사인 에퀴노르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동해1 가스전은 2022년 생산을 종료할 예정이며 울산 남동쪽 58Km 해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에서 아직 연구개발(R&D) 단계에 머물러 있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모델’을 최초로 사업화하는 것으로, 본격적인 해상 풍력발전 시대를 여는 의미가 있다.

이날 체결된 업무협약에 따르면 석유공사는 해상플랜트 운영 경험을 살려 동해1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한다.


현대중공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조선해양기술력을 바탕으로, 부유체 해상구조물 설계·제작·설치 분야의 기술검토를 맡는다.


석유공사는 이날 업무협약 체결에 이어 9월 중 포스코와 두산중공업, LS전선과 차례로 업무협약을 맺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해상구조물용 고성능 철강재료 공급과 경제성 향상기술을 개발하고, 두산 중공업은 해상풍력터빈 제작, LS전선은 해저케이블 제작 등 각 참여 기업은 전문분야별 중심 기능을 수행한다.


한국석유공사 양수영 사장은 “협약 체결로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며 “그린뉴딜 정책 수행과 국내 기술을 활용한 설비 국산화로 국내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의 산업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동해1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경우, 관련시설 건설을 통한 2만5000개의 일자리 창출과 전후방사업의 연관효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