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형 문화재생사업, 문체부 ‘장관상’ 수상

‘2020 대한민국 도시재생 심포지엄’서 우수성 재확인

사진=전주시 제공

사진=전주시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김태인 기자] 전북 전주시는 정부로부터 성매매집결지를 문화예술마을로, 방치된 폐공장을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킨 전주형 문화재생사업으로 우수성을 재확인받았다.


26일 시는 최근 충북 청주시에서 열린 ‘2020 대한민국 도시재생 심포지엄’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문화적 우수성을 인정받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시는 도시재생 뉴딜사업 분야의 선도도시로 초청을 받아 ‘사람·생태·문화가 살아있는 도시재생’을 주제로 사례를 발표했다.


신계숙 전주시 사회연대지원단장은 사례발표에서 ▲예술가와 주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도시재생 서학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오래된 폐공장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시킨 팔복예술공장 ▲성매매 집결지를 여성 인권과 문화예술이 꽃피는 공간으로 재생시킨 서노송예술촌 프로젝트 등을 소개했다.


이에 앞서 시는 전통문화 중심의 도시재생을 비롯해 전주역세권 혁신성장 르네상스, 용머리 여의주마을, 서학동예술마을 등 4개 권역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해 왔다. 또 남노송동 새뜰마을 등 4곳에서 새뜰마을 조성사업과 다가동 도시재생 인정사업 등 총 1200억 원 규모의 도시재생사업이 펼쳐지고 있다.

신계숙 단장은 “대한민국 도시재생 1번지인 전주시의 도시재생 사업들이 모범적인 사례로 중앙부처 및 타 지자체의 주목을 받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재생, 시민이 함께 가꾸는 도시재생, 삶과 도시를 변화시키는 도시재생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선미촌 문화재생사업으로 지속가능발전대상에서 대통령상을 받고, 방치된 폐 산업시설을 문화예술거점으로 탈바꿈시킨 팔복예술공장으로 대한민국 지방자치 경영대전에서 장관상을 받는 등 도시재생 사업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호남취재본부 김태인 기자 kti145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