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환경부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반발…"안동의 물식민화"

환경부 5일 '연구용역' 중간보고서 발표에 대해 "지자체간 갈등 조장" 백지화 촉구

안동시, 환경부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반발…"안동의 물식민화"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박동욱 기자]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이나 안동 임하댐 물을 대구에 공급하는 방안이 담긴 환경부 연구용역 결과에 대해 안동시가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권영세 안동시장과 김호석 안동시의회 의장은 6일 오전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환경부의 용역 결과를 '안동시의 물 식민화'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1976년 안동댐, 1993년 임하댐 건설로 4만여명의 수몰민이 고향을 등지고 흘린 눈물은 부산, 대구, 경북 포항·구미 등 산업단지 부흥의 쓰디쓴 밑거름이 됐다"면서 "안동은 지난 50년 동안, 영남 하류 지역에 맑은 물을 공급한다는 구실 아래 갖은 규제를 감당해야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안동댐 인근이 축구장 면적 약 3만2000배에 달하는 231.2㎢의 면적이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지정돼 43년간 이름만 내 땅인, 쓸모없는 땅이 됐다"며 "재산권이란 권리 또한 이곳에서는 그저 박제된 문서 한 장에 불과하다"고 하소연했다.


그러면서 "환경부 계획은 약 1조원 이상 비용을 들여 임하댐 30만톤의 물과 문산매곡의 초고도 정수처리된 물 28만 톤을 조합해야 가능하다"면서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는 재원에 대한 우려는 물론 지방정부간의 갈등을 조장하는, 포장지만 그럴듯한 '대구 취수원 다변화'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이들은 "안동시민들이 동의하지 않는 기존 영천댐 도수로를 통해 취수하고 있는 성덕댐 길안천 취수를 즉각 취소하고 성덕댐에서 직접 취수하라"면서 "임하댐 취수는 반세기 동안 지속된 안동의 물 식민지화의 연장선으로 이에 따른 통합 물관리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환경부는 5일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연구용역' 중간보고서를 공개했다. 낙동강 상류 지역에 안전한 물을 다변화하는 대안을 제시한 이 보고서는 ▲대구 낙동강 모래톱 강변여과수 이용+대구 문산·매곡취수장 초고도정수처리 ▲구미 해평취수장 취수+문산·매곡취수장 초고도정수처리 ▲안동 임하댐 취수+문산·매곡취수장 초고도정수처리 등 3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낙동강 구미국가산업단지 상류에 있는 구미 해평취수장이나 안동 임하댐에서 하루 30만톤의 물을 취수해 대구 등에 공급하겠다는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이다.


현재 대구시는 생활용수의 66%를 구미국가산업단지 하류에 있는 낙동강의 문산·매곡취수장에서 충당하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 2018년 12월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마련을 추진하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환경부는 지난해 3월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연구용역'을 시작해 지난 5일 중간보고서를 내놨다.

임하댐.

임하댐.

원본보기 아이콘




영남취재본부 박동욱 기자 pdw120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