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경도인지장애, 알츠하이머, 혈관성, 루이소체 등 치매 질환의 발병 원인을 찾아내고 진단하며 치료제를 개발하는 정부 사업이 올해부터 본격 추진된다. 총 1987억원을 투입해 9년간 연구개발이 이뤄진다. 치매 발병을 5년 정도 지연시키고, 치매 환자 증가 속도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 목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는 묵인희 서울대 교수를 단장으로 한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을 출범한다고 31일 밝혔다.
사업단은 치매 원인규명과 발병기전 연구, 치매 예측과 진단기술 개발, 치매 예방과 치료기술 개발 등 3개 분야 연구를 진행한다.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으며 2028년까지 총 1987억원을 투입한다.
근본적인 치매의 발병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451억원이 투입된다. 치매를 발병 전에 예측하거나 발병 초기에 진단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는 508억원을 쓴다. 치매 치료제 개발과 뇌 내 약물전달 기술 개발 등에는 609억원을 지원한다. 세부 분야별 연구과제는 다음달부터 국내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공모를 통해 선정한다.
양 부처는 이번 사업을 통해 치매 발병을 5년 정도 지연하고 치매 환자 증가 속도를 50%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치매는 증상이 일정 수준 진행되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조기 진단?치료기술 확보가 핵심"이라며 "기초원천연구를 담당하는 과기정통부와 임상을 지원하는 복지부가 공동 운영하는 전주기 사업단을 통해 국민 치매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