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민 비대위원 "정강 정책 전체에 대한 변화 불가피…'유사 민주당' 아냐"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김병민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비대위원)이 "정강 정책 전체에 대한 변화가 불가피하다"며 사회적 약자와의 동행, 복지정책의 담론 등 공동체의 미래를 위한 핵심 의제를 정강 정책에 담아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비대위원은 3일 YTN 라디오 '노영희의 출발새아침'에 출연, "일각에서는 싹 뒤바꾸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를 하는데, (보수) 정신은 뿌리에 둔 채 그동안 우리가 놓치고 있었던 것을 충분하게 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가 놓치고 있었던 것은 사회적 약자와의 공감과 동행, 복지정책 담론, 국가 공동체의 미래에 대한 구체적 고민과 계획 등"이라며 "공동체의 미래를 위한 핵심 의제들을 어떻게 먼저 끌어낼 수 있을까 등에 대한 내용들을 정강 정책에 담아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변화가 '유사 민주당' 아니냐는 일각의 지적에는 "걱정과 우려를 해주시는 부분들은 충분히 할 수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하지만 오해가 있다"며 "자유, 우파만을 너무 강조하다 보면 오히려 국민과 국민의 삶에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없기 때문에 생각의 틀에 빠지지 말자고 하는 취지로 이야기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2일 의원총회에서 '시비 걸지 말라'고 한 것에 대해서는 "변화라고 하는 건 익숙한 것과 어느 정도 떨어져야 하는 결별일 수 있다"며 "변화가 시작도 아직 하지 않은 상황인데 걱정과 우려를 내비치기보다는 다 같이 조금씩 협조하면서 갈 때 우리 정당의 미래가 있지 않겠느냐, 그래서 너무 시비걸지 말라는 말을 이렇게 직설적으로 한 것"이라고 의도를 설명했다.

김 비대위원은 기본소득 논의에 대해 "기본소득제의 모든 내용들, 복지 담론들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논의할 수는 있겠습니다만, 적극적으로 기본소득제를 하겠다고 선언한 것은 아니"라며 "지금까지 해왔던 무수히 많은 복지 정책들이 있는데, 이 내용들을 그대로 둔 채 계속 덧붙이기식 복지정책이 가게 되면 아마 국가재정 파탄에 이르게 되는 심각한 상황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복지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등에 대한 방향에 대해서 충분하게 논의할 수 있습니다만, 그 전제는 기존에 있었던 한정된 재원에서 그 복지정책의 조정을 어떻게 가지고 갈 것이냐 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내용"이라며 "그동안 우리가 약간은 거리를 뒀던 모든 정책들도 충분하게 논의의 테이블 위에 올려놓을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