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공동모금·현대重, 윤미향 주장에 재차 반박

윤미향 "쉼터 매입 당시 모금회 '경기 지역도 괜찮다'고 의견"
모금회 "사업 검토·심의만… 진행 절차사 모금 제안할 수 없어"

윤미향 전 정의기억연대 이사장(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당선인)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윤미향 전 정의기억연대 이사장(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당선인)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전 이사장인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자가 자신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적극 해명에 나서고 있지만 논란은 쉽게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 '안성쉼터'와 관련된 윤 당선자의 해명에 거론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현대중공업이 재차 반박에 나서는 등 진실공방으로 이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윤 당선자는 경기 안성에 쉼터를 마련한 이유에 대해 "10억원으로 서울 마포의 어느 곳에도 집을 살 수가 없었다"며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경기 지역도 괜찮다'는 의견을 줘 결국 안성까지 오게됐다. 쉼터를 매입했을 때 공동모금회와 현대중공업, 모두 마음에 들어했다"고 18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전화 인터뷰에서 밝혔다.

그러나 정작 공동모금회 측은 이 같은 제안을 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모금회 측은 "기부자의 의사와 한국정신대대책협의회(정의연의 전신)의 전문성을 존중해 제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사업을) 검토하고 심의했을 뿐"이라며 "사업의 진행 절차상 모금회 측에서 먼저 제안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어 "정대협이 먼저 안성 부지를 알아본 뒤 모금회쪽에 '안성에 쉼터를 지어도 되겠냐'고 제안해왔다"고 밝혔다. 결국 누가 먼저 지역 변경을 제안했는지, 기부자 측에서 이에 어느 정도 의사를 개입했는지 등에 대한 추가 해명이 필요해 보인다.


현대중공업 역시 "현대중공업이 예산조사를 잘못했다", "현대중공업과 협의해 진행했다"는 윤 당선인의 해명에 대해 "쉼터 사업 과정에서 윤 당선자와 직접 접촉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며 "윤 당선자와 공동모금회의 협의 결과를 통보만 받았다"는 취지로 반박했다.


윤 당선자가 10억원으로 서울 마포에서 주택을 구할 수 없었다는 해명도 납득하기 어렵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조회 시스템에 나오는 2013년 서울 마포구 성산동 일대 다가구와 단독주택 실거래가는 26건의 전체 거래 중 20건(77%)이 10억원 이하였다.

윤 당선인은 아파트 경매 거래 관련 의혹도 받고 있다. 경매 자금 출처에 해명이 반나절 만에 바뀌면서다. 특히 이에 대해 18일 오전 라디오에서는 "본인이 집을 팔아 샀다"고 해명했지만 오후에는 "2012년 일이라 아파트 경매를 언제 했고, 언제 팔렸고 이런 것을 다 기억하지 못했다"고 말을 바꿨다.

곽상도 미래통합당 의원 등 보수진영에서는 아파트 매매 시점을 두고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곽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윤 당선인이 전에 살던 아파트는 2013년 1월7일 매도됐다"고 했다. 기존에 살던 아파트를 판 시점이 경매로 낙찰받은 시점보다 이후여서 윤 당선인의 앞선 해명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곽 의원은 윤 당선인에게 현금이 충분했을 것이라며 그 자금 출처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