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표 '새 광화문 광장' 재구상안 막바지

사업 타당성 검토하고 교통 개선 방안 마련하기 위한 용역 입찰
서울시 관계자 "이르면 2월 공개 가능…코로나가 변수"

박원순표 '새 광화문 광장' 재구상안 막바지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온유 기자] 서울시의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구상안이 이르면 이달 중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구상안 공개를 앞두고 사업 타당성을 검증하는 용역 입찰에 착수한 상태다.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작업은 당초 지난달 첫삽을 뜰 예정이었으나 졸속추진 지적과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의 반대로 중단된 바 있다.


6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조달청 나라장터에 '새로운 광화문 광장 조성에 따른 교통 모니터링ㆍ시행효과 예측 분석' 입찰공고를 냈다. 25일까지 입찰서를 접수하고 계약을 맺을 계획이다.

서울시 교통운영과 관계자는 "사업 전ㆍ중ㆍ후의 교통 및 사회ㆍ경제ㆍ문화 등 정량적 지표에 대한 조사ㆍ분석을 실행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공사 시 예상되는 문제점과 교통 환경 변화로 지역에 미치는 영향,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시는 이번 분석을 통해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에 따른 편익과 공익 증대 효과를 검증해 사업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고 주변지역까지의 교통개선 방안도 도출할 계획이다.


2018년 4월 박원순 서울시장이 발표한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계획은 광장의 역사성과 시민성 회복을 목적으로 기획됐다. 왕복 10차로인 광화문 앞 세종대로를 6차로로 줄여 광장 면적을 현재의 3.7배로 넓히고 경복궁 앞에 일제강점기 때 훼손된 월대를 복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시는 국제설계 공모를 거쳐 2019년 1월 사업 설계안을 발표했으나 시민단체, 전문가는 물론 행정안전부의 반대로 부침을 겪었다. 교통체계 미흡, 미래 청사진 부재, 소통 없는 일방적 추진 등이 문제점으로 꼽혔다. 바닥에 촛불 이미지를 새기는 안을 두고 박 시장이 광화문 광장을 정치적 수단과 치적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비판도 일었다. 이에 시는 지난해 9월 2020년 1월로 예정됐던 착공 계획과 행정절차를 중단하고 시민 의견을 반영한 사업 시기와 방향을 다시 정립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진행된 10여차례의 전문가 토론과 시민 토론에서는 특히 교통에 대한 논의가 집중됐다. 도로축소, 전면보행, 대중교통, 자전거도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등에 대한 의견이 엇갈렸다. 서울시 광화문광장추진단 관계자는 "전면보행의 경우 장기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현재 시민의 요구사항을 어떻게 반영할 건지 검토하는 과정이며 그 결과를 2~3월 중 대 시민에게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새 설계안을 토대로 토론회도 개최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지방자치단체장은 4월15일 총선 60일 전인 오는 15일부터 각종 행사를 개최하거나 후원할 수 없는데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이 여전히 확산세여서 토론회가 총선 이후로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