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수 만든 이슬예나PD "'캐릭터'가 떠야 유튜브 흥행"

이슬예나PD[사진=구글코리아 제공]

이슬예나PD[사진=구글코리아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흥순 기자] "1인 미디어를 하면서 시청 횟수로 수익을 만들어 내기가 쉽지 않지만 특정 캐릭터가 인기를 얻으면 그걸로 연계할 수 있는 접점들이 많이 생긴다. 디지털콘텐츠를 제작하면서 캐릭터의 힘이 정말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인기 캐릭터 '펭수'를 만든 '자이언트 펭TV'의 이슬예나 EBS PD는 3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구글스타트업캠퍼스에서 열린 '유튜브 크리에이터와의 대화' 행사에서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관심 있는 이들을 향해 이 같이 조언했다. 그는 "유튜브에서는 누구나 할 만한 아이템이 다수 등장하지만 캐릭터에 따라 콘텐츠의 특성이 달라진다"며 "게임을 만들 듯이 상황을 잘 설계하고, 캐릭터가 이 상황에 들어갔을 때 시너지가 날 것이라고 예측하고 설계하는 판단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펭수 캐릭터를 구상한 계기에 대해 "EBS프로그램을 유아들이 많이 보지만 이 친구들이 초등학생만 돼도 '애들이나 보는 채널'이라고 외면하는 게 안타까웠다"면서 "초등학생뿐 아니라 어른들과도 공감하는 콘텐츠를 만들어 소통하는 느낌을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EBS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대다수 캐릭터가 스튜디오 중심으로 이뤄지고, 정의를 구현하는 등 대의에 초점을 맞췄다"며 "이상적이고 마냥 선하기보다는 돌발적이지만 솔직한 매력이 있고, 현장에 나가 사람들과 소통하는 캐릭터를 만들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이 PD는 또 "펭수는 짜여진 각본에 맞춰서 움직이는 게 아니라 제작진이 공유하는 철학은 유지하되 자유롭게 활동하는 캐릭터"라며 "권력이나 위계질서에 굴하지 않고 수평적인 펭수의 화법에 매력을 느껴 많은 분들이 공감해주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펭수의 인기로 '자이언트 펭TV' 채널은 최근 구독자 200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개설 9개월 만에 이룬 성과로 지난해 11월 100만명 달성한 지 2개월 만에 100만명이 더 늘었다. 채널의 총 누적 조회수는 지난 26일 기준 1억8000만뷰를 기록했다.


이 PD는 앞으로의 목표에 대해 "꿈을 크게 갖자면 펭수를 통한 영화를 제작해보는 게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봤다"며 "지금 인기가 거품이 되지 않도록 탄탄하게 다져나가고 진정성과 소통이라는 키워드를 잃지 않고 '롱런'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한편 방송인 장성규가 출연해 다양한 직업 체험 에피소드를 전하는 웹 예능 '워크맨'의 고동완 PD도 유튜브의 성공방식으로 수평적이고 소통하는 시스템을 꼽았다. 그는 "기존 방송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윗선의 평가를 받지만 우리는 만든 콘텐츠를 함께 일하는 후배나 인턴에게 가장 먼저 보여준다"며 "젊은층이 주로 보는 콘텐츠인 만큼 연출자가 무조건 맞다는 생각을 내려놓고 젊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