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公, 951억 들여 생산성·안전시설↑

자료=한국광물자원공사

자료=한국광물자원공사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한국광물자원공사는 예산 951억원을 투입해 올해 국내 자원업계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한다고 밝혔다.


광물공사는 21일 오후 강원도 원주시 본사 대강당에서 국내 자원업계 관계자 200여명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알릴 예정이다.

광물공사는 우선 시설융자, 안전시설 확충 등 민간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한다, 광산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적용해 설비 노후화 등 어려움을 덜어준다. 생산성을 높이는 스마트 마이닝 장비를 우선 지원한다.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 따라 일자리 창출 실적 보유 업체, 신생 및 중소광산 등을 우대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또 국고보조 신청서류를 9건에서 5~6건으로 줄인다.


광물공사는 설명회에서 광산 생산량 확보를 위한 갱도굴진과 광산 현대화 사업에 29억원을, 국내 부존자원 확인을 위한 정밀조사 및 탐광 시추 사업에 32억원을 각각 투입한다고 전했다.

국내 60개 광산의 안전성 평가, 작업자 안전을 위한 설비, 실시간 구조시스템 도입 등에 65억원을 지원한다. 안전사고를 선진국 수준으로 줄이기 위한 법정의무 안전교육, 광산재해 예방 활동 등도 연중 추진한다.


신규사업과 설비투자 등으로 자금확충이 필요한 광산·광산물 가공·석재가공업체 등에 800억원 상당의 융자를 지원한다. 융자 금리는 지난해보다 평균 0.25%포인트 낮춘다.


중소기업의 경영 컨설팅도 제공한다. 업계 장기근속자가 내는 공제금 일부를 지원하는 고용안정 사업도 추진한다.


신홍준 광물공사 자원기반본부장은 "올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말 확정한 '3차 광업기본계획(2020~2029)' 첫 시행연도"라며 "물가 상승, 규제 강화, 광산물 가격하락 등 삼중고를 겪고 있는 국내광업 경쟁력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 본부장은 "창업기부터 성숙기까지 다양한 단계에 속한 기업들의 수요를 반영해 맞춤형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