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정 추진…어린이집·노인시설 등 밀집지역

서울을 비롯한 중서부 지역에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단계를 보인 19일 광화문광장에서 바라본 도심이 뿌옇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서울을 비롯한 중서부 지역에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단계를 보인 19일 광화문광장에서 바라본 도심이 뿌옇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인천시가 미세먼지 노출 피해가 심각한 2개 지역을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해 관리한다.


시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등학교, 노인복지시설 등 미세먼지 취약계층 이용시설이 밀집된 지역 중 미세먼지의 연간 평균농도가 환경 기준을 초과하는 곳을 위주로 집중관리구역을 지정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말 10개 군·구를 대상으로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정 수요조사를 한 뒤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의 서면·현장평가를 거쳤다.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되면 지역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미세먼지 저감 대책이 다양하게 시행된다.


시는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안에 사물인터넷(IoT) 기반 측정 장비를 설치해 대기오염 실태를 상시 측정할 수 있는 과학적인 대기오염 측정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미세먼지 회피 시설과 공기 정화시설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취약계층의 미세먼지 노출 최소화를 위해 다양한 주민지원사업을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


또 미세먼지 발생사업장 지도·점검 강화, 대기배출사업장 방지시설 설치 지원, 자동차 배출가스 및 공회전 집중단속, 도로 살수차 운영 등을 추진한다.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은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2조에 따라 각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이 지정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 취약계층의 건강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안심구역을 말한다.


전국적으로는 서울시가 지난 2일 금천·영등포·동작구 등 자치구 3곳의 일부 지역을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했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