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참전용사' 서정돈 일병 유해발굴 9년만에 신원확인

1950년 9월 국군 제9사단 소속으로 참전
유가족들과 협의 거쳐 국립현충원에 안장

2010년 9월 고 서정돈 일병 발굴 수습현장 (사진=국방부)

2010년 9월 고 서정돈 일병 발굴 수습현장 (사진=국방부)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2010년 9월30일 강원도 인제군 남면 일대에서 발굴된 6ㆍ25 참전용사 유해의 신원이 9년 만에 고(故) 서정돈 일병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국방부는 서 일병의 아들인 서무교(69)씨가 지난해 9월에 등록한 유전자(DNA)를 최신 핵 검사(STR) 기법으로 분석해 최종 신원을 확인했다. 이 검사 기법으로는 3번째, 2000년 4월 유해발굴을 위한 첫 삽을 뜬 이후로는 138번째 신원확인이다.

1921년생인 서 일병은 경남 김해시 상동면 감노리에서 4자녀를 둔 가장으로 농사를 짓다가 6ㆍ25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9월23일 국군 제9사단 소속으로 참전했다. 그는 같은해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벌어진 현리지역 전투에서 전사했다.


현리지역 전투는 중공군과 북한군이 마구 들이닥치는 상황에서 9사단이 주축이 돼 적의 공격을 지연시켰던 방어 전투다. 당시 서 일병은 카투사 소속이었지만 9사단이 창설되는 기간 동안 증원 인원으로 편성됐다.


서 일병은 강원도 인제군에서 완전유해로 발굴됐으며 M1 탄피와 대검 1점 등 5점의 유품이 함께 발견됐다.

아들 서무교씨는 "아버님을 찾게돼 감개무량하고 고맙다"며 "다른 유가족분께 죄송한 마음이 든다. 전사자분들이 하루 빨리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유가족들과 귀환행사와 안장식에 대한 협의를 거친 후 국립현충원에 유해를 안장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6ㆍ25전쟁 전사자 신원확인을 위해 다양한 기법을 지속 적용하고, 유가족 유전자 시료채취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고 서정돈 일병 유품 (사진=국방부)

고 서정돈 일병 유품 (사진=국방부)

원본보기 아이콘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