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韓물가, 국가별 분업, 전자상거래 같은 글로벌 요인이 낮춰"

한은 보고서 발표

2013년 이후 우리나라 물가, 글로벌 영향 더 받아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2013년 이후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세계화에 따른 국가별 분업이나 전자상거래 확산 같은 전세계적인 요인에 이전보다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소비자물가상승률이 한국은행이 물가목표제를 밑돌 경우 물가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더 어려워졌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글로벌 요인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 보고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유례없는 완화적 통화정책 대응에도 주요국 인플레이션은 장기간 물가목표를 하회하며 하향 동조화 현상을 보였다"며 "전세계적인 저인플레이션 지속 현상은 글로벌공급망(GVC) 확충, 온라인거래 확산 같은 구조적 요인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이 확대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은이 물가상승률에서 경기순환적 요인과 불규칙 요인을 제거한 '추세 인플레이션'을 구해본 결과, 우리나라 추세 인플레이션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21개국 평균 추세 인플레이션과 마찬가지로 금융위기 이후 하락했다. 우리나라는 2001~2008년 사이 2.5%였는데 2011~2018년은 1.7%로 떨어졌다. 21개국 평균치는 같은 기간 2.0%에서 1.4%로 하락했다.


보고서는 "글로벌 요인이 개별 국가의 추세 인플레이션에 미친 영향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소규모 국가에서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글로벌 요인의 영향은 GVC 참여도와 같은 대외 연계성이 높을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2013년 3분기 이후 우리나라에 대한 글로벌 추세 인플레이션 영향력은 더 커졌다. 2001년2분기~2013년 2분기 양측의 상관계수는 0.5였지만 2001년 2분기~2019년 1분기 상관계수는 0.91까지 높아졌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글로벌 요인이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해왔고 그 정도는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결론지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