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슘신호 조절 통한 급성 췌장염 치료 표적 제시

비정상적 칼슘 유입 차단 방안 제시

SARAF 유전자가 결여된 생쥐와 과발현된 생쥐에서의 급성 췌장염 정도 비교

SARAF 유전자가 결여된 생쥐와 과발현된 생쥐에서의 급성 췌장염 정도 비교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신동민 연세대 교수 연구팀과 미국 국립보건원 등이 참여하는 공동연구진이 급성 췌장염 진행 과정에서 칼슘신호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SARAF)의 역할을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소화기 분야 국제학술지 '가스트로엔테오로지'에 최근 게재됐다.


췌장의 '샘꽈리세포' 안으로 칼슘이온이 과도하게 유입되면 칼슘자체의 독성에 의해 세포가 파괴되며 이어 세포 내 소화효소가 유리돼 췌장염이 발생한다. 칼슘이온 통로를 없애 칼슘이온의 유입을 막으면 췌장염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실제 칼슘이온 통로가 없는 생쥐모델의 경우 췌장 내 미생물총이 크게 영향을 받는 등 치명적 부작용으로 치료제로 개발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칼슘이온 통로 자체가 아닌 통로의 개폐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에 주목하고 급성 췌장염에서 조직 손상을 막는 단백질 'SARAF'가 분해돼 사라지는 것을 알아냈다. 쌤꽈리세포에서 SARAF가 분해되지 않도록 단백질을 안정화하거나 다시 보충해줄 수 있는 전략이 췌장염 치료제 개발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실제 칼슘이온 통로 개폐조절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않는 생쥐에 급성 췌장염을 유도한 결과 SARAF를 많이 만들어내는 생쥐에 비해 췌장염 진행정도가 더 심각했다. SARAF 유전자가 결여된 생쥐에서는 정상생쥐보다 췌장의 부종과 혈액 내 아밀라아제 양이 더 증가한 것이다. 신동민 교수는 "칼슘신호 조절을 통해 췌장염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밝혀 췌장염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