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과 5당 대표 회담 논의 급물살…외교안보 라인 문책 수용은 미지수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15일 국회에서 일본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15일 국회에서 일본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 강나훔 기자]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15일 문재인 대통령과 어떤 형태의 회담에도 응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함에 따라 문 대통령과 5당 대표의 ‘5+1 회동’ 개최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황 대표가 요구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등 외교안보 라인 전면 교체에 대해 청와대는 유보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황 대표가 실질적인 논의가 가능하다면 어떤 회담이라도 수용한다고 했다"며 "사실상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 회동을 수락한 것으로 보여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도 이날 오전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5당이 회담 날짜와 형식 등을 합의하면 청와대는 그 결정을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과 5당 대표 회담을 언제든 개최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은 지난 8일 이 대표의 회담 제안과 관련 "장소와 일정, 형식을 5당이 합의하면 우리는 언제든지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과 5당 대표 회동이 열리면 일본의 수출 규제와 관련해 진행 상황과 정부 대응 등을 설명하고 초당적인 대응을 하자고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 좋은 대책이 나오면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황 대표가 요구한 외교 안보 라인 교체가 어느 정도 수용될 지는 미지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전 아시아경제아의 통화에서 외교 안보 라인 문책 요구에 대해 “입장을 정리해야 한다”며 말을 아꼈다.


황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외교부 장관과 청와대 외교안보라인을 포함한 전체 외교라인을 조속히 교체해 극단적인 사태가 벌어지도록 방치한 무책임과 무능을 질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번 달 말이나 다음 달 초로 예상되는 개각에서 강 장관 교체설이 나오고 있지만 실제로 교체로 이어질 지는 전망이 엇갈린다.


주한 미국 대사관의 한미 정상 통화 내용 유출과 외교관들의 잇단 기강 해이 사고 등 강 장관이 책임을 져야 할 사안이 많은 만큼 이번에 교체될 것이라는 전망과 판문점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비핵화 협상이 재개될 전망이어서 유임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강 장관 교체 여부와 별개로 정 실장은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 측 인사들이 정 실장을 신뢰하고 있고 비핵화 협상과 관련해서도 정통하기 때문에 정 실장을 대체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고 말했다.


최근 모 매체가 정 실장이 교체될 것이라고 보도하자 청와대는 즉각 이를 부인하기도 했다.


한편 황 대표가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영수회담'을 전격적으로 제안한 데는 본인의 정치적 위상을 높이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원외 대표로서 한계를 극복하고 존재감을 높이기 위해 그 동안 고수했던 문 대통령과의 단독 회담 주장을 접었다는 것이다.


'국회 파행' 국면에서 나경원 원내대표가 정국을 주도해 나갔던 반면 황 대표는 야당 대표로서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했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서는 황 대표가 차기 대권 주자 선호도에서 이낙연 국무총리에게도 밀리는 것으로 나오면서 당 안팎에서 리더십 위기론까지 흘러나왔다.


여기에 일본 경제보복 현안 발생 이후 이렇다할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등 제1 야당의 역할을 해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최근 한 달 새 일본 수출 규제 뿐 아니라 북한 목선 삼척항 무단 진입 사건, 윤석열 검찰총장 후보자 거짓말 논란 등 현안이 산적해있다는 점도 조건 없는 회담 수용의 계기가 된 것으로 풀이된다.


황 대표는 이번 회담 의제와 관련 "국민이 처한 경제 위기 사안 많다. 이번 일본 보복 조치도 그 중 하나"라며 "경제를 살리고 민생을 보듬기 위한 광범위한 의제를 논의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