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에선 '킹메이커'로 보는데…자리의 무게 오판한 양정철

국정원장과의 저녁 논란, 조목조목 해명했지만 논란 증폭…文대통령 최측근, 말과 행동 하나하나 관심의 대상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서훈 국정원장과의 만찬으로 불거진 '양정철 파동'이 정치권을 뒤흔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양정철 원장을 중심으로 '킹'보다 '킹메이커'가 주목받을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이다.


이낙연 국무총리,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박원순 서울시장, 이재명 경기도지사 등 여권의 잠룡으로 불리는 인물의 활동 공간은 민주당 밖이다. 국무총리나 광역단체장은 여의도 정치와는 한 발 떨어진 공간에서 자신의 역량을 펼치고 있다.

민주당 대선주자군은 대부분 당 밖에서 활동하고 있으니 '여의도 정치' 영역에서는 킹보다는 킹메이커의 활동이 주목을 받게 된다는 얘기다. 양 원장은 여당의 주요 당직 중 하나를 맡고 있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킹메이커로 인식되고 있다.


정치권에선 '킹메이커'로 보는데…자리의 무게 오판한 양정철 원본보기 아이콘


양 원장은 본인 의지와 무관하게 말과 행동 하나하나가 정치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민주연구원장 취임 이후 최대한 말을 아끼고 있지만 누군가를 만나는 것 자체만으로도 이슈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양 원장이 국정원장을 만나 선거와 관련한 깊은 얘기를 나누지 않았더라도 '정치적인 상상력'의 영역에서는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28일 "도대체 무슨 대화를 나눴을까 여러 가지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면서 "여당 내 공천 추천자 정보 수집, 야당 죽이기를 위한 정보수집, 국정원을 통해 새로운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나리오가 있다"고 말했다.

오신환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도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두 사람의 회동에 대해 "국정원의 총선개입 의혹을 부를 심각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와대는 서 원장과 대통령 최측근 인사인 양 원장의 부적절한 처신에 대해 최소한의 주의라도 주는 게 상식적 대응"이라고 일갈했다.


서 원장은 물론 양 원장의 정치적 무게감을 청와대가 회피하지 말고 적절한 견제를 해야 한다는 요구다. 어느 새 양정철의 무게감은 국정원장과 동급이 된 셈이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양 원장은 지난 21일 서울 강남 한정식집에서 서 원장과 만찬을 함께 한 것을 놓고 논란이 증폭되자 답답한 심경을 감추지 않았다. 양 원장은 언론에 전한 장문의 문자메시지를 통해 관련 의혹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국가정보원장이 비밀 얘기를 할 장소가 없어서 다 드러난 식당에서 누군가를 만났다는 가정 자체가 정치를 전혀 모르는 허황된 프레임"이라고 언론과 정치권을 동시에 겨냥했다.


이날 만남은 비밀 회동이 아니라 오랜 지인들의 저녁 자리라는 얘기다.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김영란법)'을 고려해 본인의 식사비용 15만원은 미리 식당 사장에게 현금으로 전달했다는 게 양 원장의 해명이다.


양 원장은 "정치얘기, 선거얘기를 했다가는 피차가 민망해지는 멤버들이었다"라고 설명했다. 이날 자리를 함께한 중견 언론인도 언론 인터뷰를 통해 "민감한 정치적인 얘기는 없었다"고 전했다.


주목할 대목은 민주당이나 양 원장이 생각한 것 이상으로 이번 사건의 파장이 컸다는 점이다. 27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이후의 풍경은 상징적인 대목이다. 이해찬 대표와 이인영 원내대표가 회의를 끝내고 나왔지만 기자들은 다른 인물을 기다리고 있었다. 양 원장이 뒤이어 나오자 기자들이 일제히 곁으로 모여들어 질문 경쟁을 벌였다.


이는 양 원장의 정치적인 위상과 맞물려 있다. 양 원장은 문재인 대통령 만들기에 앞장선 최측근 인사다. 양 원장의 말과 행동은 '문심(文心)' 논란에 휩싸일 수밖에 없다. 민주당 싱크탱크를 이끄는 역할에 더해 '청와대 메신저'로 주목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민주연구원은 양 원장 취임 이후 위상이 달라졌다. 양 원장은 '총선 승리의 병참기지' 역할을 다짐했지만 정치권 안팎에서 바라보는 위상은 그 이상이다. 민주연구원에 정치적인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과 관련해 여당 내부에서 경계의 목소리도 엿보인다. 당 대표와 원내대표 등 선출직 지도부가 내년 총선을 주도할 수밖에 없는데 민주연구원이 권한 이상의 관심을 받고 있다는 의미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