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와의 전쟁' 패션업계, 업사이클링 대안에는 눈감다(종합)

폐섬유 연간 8만t 쏟아져…패스트패션의 그림자
'한국판 프라이탁' 코오롱FnC 래코드 매출 6년간 5배 증가

업사이클링계 명품으로 통하는 '프라이탁' 가방 제품들. 사진=홈페이지 캡처

업사이클링계 명품으로 통하는 '프라이탁' 가방 제품들. 사진=홈페이지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차민영 기자] "작년 9월 버버리가 재고 소각 문제로 세계적으로 비판을 받았지만 별다른 대안이 없었을 거라 생각해요. 업사이클링(새활용)은 그만큼 쉬운 일은 아닙니다."


매년 옷을 만드는 과정에서 8만t가량 폐섬유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지만 국내 의류 회사들은 재고를 재활용하는 업사이클링 시스템을 도입하는 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일회성 캠페인은 가능하지만 기술적 한계나 비용 문제가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15일 아시아경제가 삼성물산패션, LF, 한섬, 신세계인터내셔날, 코오롱인더스트리 FnC부문, 이랜드월드 등 국내 의류 대기업 6곳에 문의한 결과 코오롱FnC를 제외한 모든 업체가 재활용과 업사이클링 관련 브랜드를 보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스페이스, 블랙야크, K2 등 아웃도어 대표기업 3곳에서도 업사이클링 시스템을 도입한 곳은 없었다.


빠른 소비와 대량 생산의 메커니즘이 의류 쓰레기 문제를 만들고 있지만 업계 인식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셈이다. 환경부 통계에 따르면 2017년 의류 생산 단계에서 배출된 폐섬유류는 하루 약 224t에 달한다. 연간으로 따지면 약 8만2000t 규모다. 2016년에는 연간 10만4000t에 육박해 일시적으로 10만t을 넘기기도 했다. 폐섬유량은 최근 7년간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구두나 가방 등 가죽 제품군에 사용된 폐피혁까지 합칠 경우 쓰레기 양은 더욱 늘어난다. 폐섬유와 폐피혁은 재활용이 아예 불가능한 산업폐기물로 소각 처리만 가능하다.


업계에서는 업사이클링ㆍ재활용 캠페인을 지속하고 있지만 비용이나 기술력 문제에 대한 마땅한 해결책이 없다는 반응이다. 단순 무관심으로 치부하기에는 업계에서도 고민을 지속하고 있다는 항변이다. 실제 삼성물산패션의 의류 브랜드 '빈폴'은 작년 6월 도시에 버려진 자전거를 업사이클링해 섬마을에 기부하는 '바이크 위 라이크' 캠페인을 펼쳤다. 신세계인터내셔널은 사내벤처팀 '랩' 팀에서 작년 8월 유튜버 와디와 재활용 캠페인을 진행했다.

업계 관계자는 "업사이클링 제품의 경우 대부분이 수작업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일괄적으로) 찍어내는 방식의 공장 공정과는 다르게 훨씬 많은 품이 들어가고 제작 과정도 길고 까다롭다"면서 "업체들이 단발성으로 업사이클링이나 재활용 캠페인을 진행하는 이유도 매출을 올리려는 목적이 아닌 소비자의 친환경ㆍ윤리의식을 제고하려는 목적이 크다"고 해명했다.


국내 업사이클링 브랜드 '래코드'의 점퍼백.

국내 업사이클링 브랜드 '래코드'의 점퍼백.

원본보기 아이콘

국내 대형 의류 기업들 중 업사이클링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곳은 코오롱FnC부문뿐이었다. 2012년 론칭한 '래코드'는 재고처리 과정에서 생기는 의류 재고를 재활용하는 방안을 고안하던 중 만들어졌다. 업계에는 통상 3년이 지난 재고를 보관 문제 등으로 소각 처리하는 관행이 있기 때문이다. 2000년대 초반 아프리카 기부 등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중고거래에 악용되는 등 부작용이 발발하면서 이 같은 결과로 이어졌다. 특히 작년에는 명품 브랜드 버버리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남은 재고를 일부러 소각한 사실이 드러나 사회적 비판을 받았고 국내 업체들도 예외가 아닌 것으로 드러나 함께 도마에 올랐다.


다만, 긍정적인 것은 국내에도 의식있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되려 업사이클링 문화를 이끌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래코드의 경우 작년 말 기준 매출이 2012년 말 대비 5배 증가했다. 업사이클링 디자이너 그룹 리블랭크 등 소형 기업들의 적극적인 행보도 눈에 띈다. 이에 대해 코오롱FnC 관계자는 "래코드는 외국에서 진행하는 친환경 패션 행사들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데 되려 외국인들이 국내 소비자들보다 좋은 반응을 보인다"라며 "최근 국내에서도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가 늘면서 브랜드 입장에서는 사회적 변화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