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통화정책 압박 장기화 가능성"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내년 대선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부가 연방준비제도(Fed)에 가하고 있는 통화정책 압박이 장기화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미국 내 물가 상승압력이 낮아 연준이 물가안정을 이유로 통화정책을 과감히 시행하기 어려운 상황은 트럼프 대통령과 정부가 득표율을 높이기 위해 경기호황을 독려하는 쪽으로 통화정책에 개입할 가능성을 키운다는 설명이다.


박춘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28일 '트럼프와 연준 독립성, 그리고 물가'란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1분기 국내 총생산(GDP)이 3.2%를 기록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정부 안대로 기준금리 완화 정책으로 갔다면 GDP 성장률이 더 올랐을 것이라고 연준을 비판한 상황이었다.

박 연구원은 정부는 경기호황을 유지해 득표율을 올리기 위해 금리를 낮추려는 유혹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전제를 폈다. 정부는 ▲연준이사 임명 ▲법 개정 ▲연준 회계감사 등 권한을 활용해 연준의 정책결정을 간접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재선을 노리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 및 정부 입장에서 이 같은 정치적 계산을 적용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시각이다.



"트럼프 통화정책 압박 장기화 가능성" 원본보기 아이콘


연준은 경기호황으로 '물가안정 Go'를 강력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지만 정작 미국 내 물가 상승 압력은 크지 않다는 점이 골칫거리다. 박 연구원은 연준이 정부로부터 독립성이 침해받을 때 인플레이션 문제가 떠오르게 마련이라고 했다. 지금처럼 물가가 크게 오르기 어려운 상황에서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잘못 썼다가는 인플레이션 기대는 물론 임금과 가격 모두 오를 수 있다.


박 연구원은 "최근 연준이 금리인상을 멈췄고 미국 실업률이 낮게 유지되고 있으며 임금이 오르고 있는데도 인플레이션 기대감이 커지지 않고 있고,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에도 못 미치는 등 미국 내 물가 상승압력은 상당히 미미한 상황"이라며 "지금의 낮은 물가상승 압력이 세계화, 인구 고령화, 자동화 등 구조적 요인에 따른 것이라면 연준 독립성을 뒷받침하는 가장 중요한 이론적 배경인 '물가안정'을 적극 추진하기 어려워지고 트럼프 대통령과 정부도 이를 인지하고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통화정책 압박 장기화 가능성" 원본보기 아이콘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